/사진=디미닛 제공
/사진=디미닛 제공

중국 정부의 강행으로 7월 1일부터 홍콩보안법이 시행됐습니다. 이 법안은 특정 인터넷 정보가 중국의 국가 안보에 해를 끼친다고 판단될 시, 중국 당국이 게시물 관련자에 대한 법적 처벌과 함께 사용자 정보를 요구할 수 있는 것이 핵심입니다.

문제는 한국 기업을 비롯한 글로벌 IT기업들 중 데이터 보존을 위한 백업 센터를 홍콩에 두고 있는 기업이 많다는 점입니다. 홍콩 보안법 통과로 중국 정부가 홍콩 안에 자리한 기업이 가진 데이터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면서, 인터넷 검열을 두려워하는 기업들의 '홍콩 엑소더스'가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됐습니다.

그리고 이런 우려는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선제적으로 대응한 기업 중 하나가 네이버입니다. 홍콩에 재해복구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던 네이버는 지난 13일 데이터 센터를 싱가포르로 옮겼습니다.

홍콩에 데이터 센터를 두고 있는 기업으로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들은 당장 특별한 운동을 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절대 고객의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글로벌 고객을 상대로 대응하는 기업일수록 정치적인 이슈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홍콩과 중국 역시 고객이기 때문입니다.

개인정보 데이터의 국외이전에 대한 논란은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유럽연합의 최고법원인 유럽사법재판소(ECJ)는 미국과 EU간 데이터 전송을 합의하고 있던 조약인 '프라이버시 실드' 협의를 무효라 판결했습니다. 미국이 EU 수준의 개인정보보호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페이스북과 구글 같은 IT기업이 EU에서 활동하기 위해서 새로운 개인정보 공유 협정 조약이 필요해진 상황입니다. 최근 여러 이슈들로 인해 글로벌 고객을 상대로 사업을 진행하는 IT기업들의 시름이 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