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규 오지스 대표 인터뷰

#토종 디파이 대표주자 '오지스'가 있다

#클레이 디파이, 오지스가 문 열었다

#'가치' 연결한 새로운 금융 서비스 더 나온다 


토종 디파이 서비스라고 하면 이제 이 기업을 빼놓을 수 없다. 올해로 3년차인 블록체인 기술 기업 '오지스'다. 

올해 오지스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X와 여러 파트너십을 맺으며 시장 인지도를 확 올렸다. 이전에는 탈중앙화 거래소 '올비트'를 개발했다. 두나무 자회사인 DXM의 블록체인 보상지갑 '트리니토' 기반 기술도 오지스가 개발한 체인이다.

오지스는 디파이 전문 기술기업처럼 보인다. 하지만 박태규 오지스 대표는 오지스가 "이종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기술 기업"이라고 말한다. 다른 가상자산의 연결을 돕는 기술을 만들어낸다는 의미다. 더 나아가 가상자산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연결하는 기업이 되겠다는 것이 오지스의 비전이다. 


'디파이 붐' 왜 갑자기 열광할까 


하루에도 여러건의 디파이 관련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다. 어느때보다 디파이에 대한 관심이 높다.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는 가상자산 금융 생태계를 의미한다. 최근 관심이 쏠리는 것은 디파이 시장에 자금이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박태규 오지스 대표 / 사진=오지스 제공
박태규 오지스 대표 / 사진=오지스 제공

박태규 오지스 대표는 그 배경으로 수익의 직관성과 유연성을 꼽는다. 그는 "그간 블록체인 기반으로 이뤄진 게임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앱 등이 등장했는데, 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앱 내 블록체인 유무가 아니라 콘텐츠 자체가 가진 매력이 고객을 유인할 수 있느냐"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나온 블록체인 앱들이 이용자들을 끌어들일만한 매력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디파이는 다르다. 박 대표는 "디파이는 돈을 벌 수 있다라는 메시지가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이라고 분석했다. 

돈을 벌 수 있는 디파이 서비스가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유연성' 덕분이다. 이는 디파이의 반대, 중앙화된 가상자산 금융 서비스를 말하는 '씨파이'와 같이 보면 이해하기 쉽다. 

'씨파이'의 가장 쉬운 사례가 중앙화된 가상자산 거래소가 운영하는 예치 서비스같은 것이다. 투자자들은 자신들의 가상자산을 회사가 받아 운용한다면, 해당 회사의 브랜드를 신뢰해야만 참여할 것이다. 반면 디파이는 이 신뢰 기반이 해당 금융 서비스를 구현한 '코드'에 있다. 누가 코드를 만들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코드 그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가상자산을 예치하면 이자를 주는 디파이 서비스가 있다고 했을 때, 이 이자는 자산의 공급과 수요에 기초한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제 3자가 이자를 지정해주거나 별도의 협상 개입이 불필요하다. 

이렇게 짜여진 코드가 '깃허브'와 같은 사이트에 공개돼 있어, 이를 보고 또다른 제 3자가 스스로 디파이 서비스를 만들 수도 있다. 여기서 디파이 유연성이 시작된다. 박 대표는 "디파이는 능동적으로 동작하며 특정 디파이 서비스를 기반으로 파생 서비스들이 자유롭게 나올 수 있는 환경"이라고 분석했다. 

이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는 것이 '이더리움'이다. 초기 이더리움을 담보로 미국 달러 가치와 고정된 스테이블코인 다이(DAI)를 발행해 대출 서비스를 지원하는 '메이커다오'를 시작으로 이더리움 기반 대출 플랫폼 '컴파운드(Compound)' 등이 계속 출현하고 있다. 


클레이튼 시너지 + 디파이 붐 


오지스는 탈중앙화 거래소 '올비트'를 시작으로 두나무 DXM의 블록체인 보상지갑 '트리니토' 등을 내놨지만, 사실 시장 반응은 미지근했다. 오그러다 지난해 말, 그라운드X를 만나면서 오지스에게 새로운 기회가 왔다.

오지스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을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인터체인 전문 기술 기업이다. 이와 관련 기술을 그라운드X와 만나 시너지를 내고, 때마침 불어온 디파이 붐과 결합해 꽤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고 있다. 박 대표는 "기존 ERC-20 표준 토큰들을 클레이튼 기반의 KCT토큰으로 바꿔야 하는 클레이튼 디앱사들이 있는데, 수동으로 해왔던 이 작업을 자동화하는 플랫폼을 구축했다"며 "이를 시작으로 그라운드X와 협업이 본격화됐다"고 말했다. 

또 오지스는 클레이튼 블록체인 내에서 발생하는 활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클레이튼 스코프'를 통해 코스모체인의 토큰 부정 발행을 잡아내며 블록체인 생태계에 이름을 떨쳤다. 최근에는 클레이를 예치하면 보상 이자를 주는 '클레이 스테이션' 서비스를 선보였고, 투자자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그는 "클레이 스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지갑인 '카이카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함에도 서비스를 오픈하자마자 이용자가 몰렸다"며 "예상 못한 시장 반응이었고, 현재 이 같은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요가 상당하다는 점을 느꼈다"고 전했다. 


"가상자산 '가치' 연결해 토큰 이코노미 구현하겠다"


사실 클레이스테이션도 '연결'이 필요한 서비스다. 클레이튼은 정해진 일부 사업자에 한해 네트워크 운영자(노드)로 참여할 수 있어, 일반 클레이 보유자들이 노드 운영사로 참여할 수도 없다. 노드 운영으로 발생하는 보상 기회가 없다는 얘기다. 오지스는 여기에 착안, 일반 클레이 보유자들도 오지스와 해시드, 이 두 노드에 클레이를 위임하고 보상을 받아갈 수 있는 '클레이 스테이션' 서비스를 선보였다.

앞으로는 이종체인과의 연결을 통한 서비스를 더 내놓을 예정이다. 이미 '에브리다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다이(DAI)를 클레이튼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박 대표는 "클레이튼이 다양한 디파이 서비스를 품기 위해서는 스테이블 코인이 필수인데, 클레이튼으로 옮겨진 케이다이(KDAI)가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지스는 이 케이다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여러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토큰들이 만나 토큰 이코노미를 구현하는 것이 오지스의 목표다. 박 대표는 "아직은 성장기라 디파이가 작동하면서 문제점이 발견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시장에 '블록체인은 금융과 잘 어울린다'라는 메시지가 생겼다"며 "앞으로 계속해서 여러 상상력을 구현한 디파이가 나올 것이고 이는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지스는 그 과정에서 계속해서 기회를 찾을 것이고, 단순히 자산만 연결하는 것이 아닌 '가치'를 연결해서 더 큰 부가가치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정은 기자 moo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