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가상자산 시가총액 10조 'UP'
업계 "美 기다리지 말고 선제적 대응책 필요"

사진 = 그라운드X
사진 = 그라운드X

 

한국 토종 가상자산들의 시가총액 합계가 1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돼 귀추가 쏠린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해외 가상자산이 아닌 국내 업체들이 직접 발행한 가상자산 가치 또한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 여전히 가상자산의 가치와 쓰임새에 대해 논란이 적지 않지만, 시장 규모가 커진 만큼 이에 걸맞은 제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두산중공업보다 비싼 클레이? 대기업 코인 핫하네 

2일 국내 가상자산 거래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 관계가 그라운드X가 발행한 가상자산 클레이의 추정 시가총액이 4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인 두산중공업(시총 4조원대)과 비슷한 규모다. 이는 클레이의 추정 발행량인 25억개를 환산한 추정가치로, 현재 클레이는 개당 1600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그라운드X는 지난 2019년, 싱가포르에서 역경매를 통해 클레이를 개당 180원대에 판매한 바 있다. 당시 싱가포르에서 클레이를 구매한 투자자는 불과 2년 만에 10배에 가까운 차익을 거두게 된 셈. 당시 그라운드X는 약 100억개의 클레이를 발행하겠다고 밝혔으나, 현재 발행량이 이에 못 미쳐 업계에선 클레이의 몸값을 대략 4조원대로 추산하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 결제 지원으로 주목을 받은 다날핀테크의 페이코인 또한 추정 발행물량인 5000만 페이코인을 개당 1420원으로 환산 시, 시가총액은 무려 700억원을 넘어선다. 아울러 ▲테라 루나(시가총액 약 2조9000억원) ▲팬텀(시가총액 약 1조4600억원) ▲아이콘 (시가총액 약 1조1000억원) ▲라인 링크(시가총액은 2700억원) 등이 국내 중견 코스닥 상장사를 뛰어넘는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이밖에도 메디블록, 메타디움, 캐리프로토콜, 썸씽, 밀크, 휴먼스케이프 등 주요기업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업체들의 가상자산을 모두 더할 경우, 토종 가상자산 시장 규모는 1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10조 시장'에 관련 법...달랑 자금세탁방지법? 

지난달 기준, 국내 가상자산 거래시장의 일평균 거래액은 무려 5조~10조원에 달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거래 뿐만 아니라 시총 10조원에 달하는 토종 가상자산 또한 일간 거래액이 수백억원을 호가한다. 하루에도 몇배씩 가격이 뛰는 탓에 투기성 자산의 대표주자로 언급되지만, 정작 시장을 이렇게 만든 것은 우리 정부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가상자산이 대중에게 언급된 지 어느덧 5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탓이다.

실제 국내업체가 발행한 가상자산 규모가 10조원을 넘어섰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련 법안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가상자상과 관련한 첫 법안인 개정 특정 금융거래 정보의 이용 및 보고에 관한 법률(특금법)은 오는 25일 시행된다. 다만 이를 통해 가상자산이 제도권으로 편입되는 것은 아니다. 개정 특금법이 가상자산 사업자에게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부과하는 단순 규제법안이기 때문이다. 가상자산으로 투자를 받는 기업도 적지 않지만 이에 따르는 회계 기준도 전무한 상황.

반면 미국이나 유럽연합(EU), 일본 등은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뿐만 아니라 거래 양성화를 위한 제도를 동시에 마련해왔다. 미국은 지난 2013년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가상자산 사업자 대상으로 라이선스를 발행하고 비트코인을 상품으로 분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왔다. 또한 2019년 4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도 제시했다.

EU도 지난해 EU 권역 내 가상자산 규제 표준화를 위해 가상 자산 규제 방안을 처음으로 발표했다. EU는 오는 2024년까지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산업 제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하루빨리 업권법이 제정되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지난달 19일 진행된 '미국 가상자산 제도와 금융기관 동향' 세미나에서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특금법 시행령이 가상자산의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가상자산을 독립적으로 진흥하고, 산업의 영역으로 인정하는 데에는 모자라다"고 질타했다. 오갑수 한국블록체인협회 회장도 "세계시장에서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가상자산 시장이 우리나라에서도 건전하게 발전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세계 디지털에셋 시장에서 리딩 국가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업권법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