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W 22] 창펑 자오 바이낸스 '글로벌 유동성 허용이 가장 좋은 소비자 보호'
창펑 자오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글로벌 유동성을 허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소비자 보호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각국 가상자산 거래소 간 유동성 공유를 허용함으로써 가격 변동을 줄이고 시세 조작을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코리아블록체인위크 2022(KBW2022)의 메인 콘퍼런스 임팩트(IMPACT)에 온라인으로 참여한 창펑 자오 CEO는 "각국 규제 당국이 글로벌 유동성을 허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소비자 보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유동성을 쪼개두면 몇몇 국가들은 아주 작은 유동성을 보유하게 된다"며 "글로벌 유동성이 없다면 가격 변동성이 훨씬 클 것"이라고 말했다. 차익 거래자들이 가격 밸런스를 맞춰주는데, 이것이 불가능해지면 글로벌 가상자산 시세와 특정 국가의 가상자산 시세의 괴리가 크게 일어난다는 것이다. 또 그는 "유동성이 저하되면 시장 조작이 쉽다"며 글로벌 유동성을 허용하지 않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창펑 자오는 바이낸스가 어느 기업보다 엄격하게 고객확인제도(KYC)와 자금세탁방지(AML)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 KYC와 AML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며 "바이낸스는 VPN을 써도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위치, 국적, 디바이스, 블록체인 예치금도 확인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창펑 자오는 "KYC는 정말 중요하다"며 "사용자들이 속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커들이 계속해서 KYC를 해킹하려고 시도하고 있다"며 "해커들이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심혈을 기울여 안전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도 해외 거래소와의 유동성 공유를 금지하고 있다. 특정금융정보법에는 '다른 가상자산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고객이 다른 가상자산사업자의 고객 가상자산을 거래하도록 하는 행위를 금지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주요 거래소들은 해외 거래소와의 제휴를 중단한 바 있다. 비트렉스와 오더북을 공유해왔던 업비트가 비트렉스와의 제휴를 중단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