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터뷰] 빗썸경제연구소 '양질의 정보가 가상자산 투자자를 보호한다'
빗썸경제연구소 이미선 센터장·오유리 팀장 인터뷰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만든 '빗썸경제연구소'에는 거시경제와 금융 정책 전문가들이 포진하고 있다. 이들은 투자자들에게 정확하고 쉬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상자산 대중화는 물론 투자자 보호까지 이뤄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테크M>이 만난 이미선 빗썸경제연구소 센터장과 오유리 빗썸경제연구소 팀장은 안정적인 증권업계 커리어를 뒤로 한 채 크립토씬에 뛰어든 인물들이다. 이들이 무엇을 바라보고 빗썸경제연구소에 합류했는지, 현재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평가와 빗썸경제연구소가 지향하는 가치에 대해 들어봤다.
전통 금융 베테랑들이 '크립토씬'에 뛰어든 이유는?
지난 5일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빗썸 사옥에서 만난 이 센터장은 전통 금융업계에서 15년 이상 경력을 쌓은 베테랑이다. 그는 "증권사에서 채권 애널리스트만 12년 했다"며 "위기 때마다 돈을 푸는 형태가 지속됐고, 사람들이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속에서 대안 자산을 찾을 거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법정통화와 달리 비트코인은 공급량이 완전히 통제되고, 그 어떤 정보도 공급량에 대해 조절을 할 수가 없다"며 "그동안 법정 통화 위에 쌓아왔던 모든 금융 시장과 금융 상품들이 프로토콜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시장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 팀장은 지난 2015년 변호사로 예금보험공사에서 커리어를 시작해 금융 안정과 관련된 경력을 쌓아왔다. 그는 "지난해 금융위원회에 민간 전문가로 파견을 나가게 됐는데, 그곳에서 혁신 금융 서비스에 대해 알게 됐다"며 "금융의 앞단이 안정인 줄 알았는데, 사실은 뒷단이 안정이고 앞단은 혁신일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거시경제와 연관성 높아지는 비트코인…지금이 바닥?
정책연구팀과 리서치팀으로 구성된 빗썸경제연구소는 지난 5월 출범 이후 지금까지 총 3번의 보고서를 발간했고, 이 때마다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동안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던 가상자산 투자에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자료들을 제시하며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이다.
이 센터장은 "정책연구팀에선 글로벌 규제 동향을 파악해 정책 아이디어를 당국에 제시하고, 리서치 팀에선 시장에 대한 전망, 가격 전망을 내놓는다"며 "시장뿐만 아니라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빗썸경제연구소는 가상자산 시장 분석에 있어 미국의 유동성과 주식 시장의 흐름을 주요하게 보고 있다. 이 센터장은 "가상자산이 하나의 자산군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통화정책, 주식, 금리 등과의 연관성이 아주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가상자산 시장이 바닥에 다다랐다는 분석도 내놨다. 이 센터장은 "크립토 시장 안에서도 기존 금융권이랑 비슷하게 움직이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실물 경제 시장에서도 대출이 많이 풀리면 풀릴수록, 유동성이 많이 풀리면 풀릴수록 부동산이나 주식이 전반적으로 가격이 올라간다"며 "가상자산 시장도 디파이 시장 안에서의 대출이 굉장히 늘어날 때 비트코인 가격이 올라갔다"고 분석했다.
이 센터장은 가상자산 투자에 대한 조언도 전했다. 그는 "포트폴리오 비중을 결정할 때 안 팔고 견딜 수 있는 만큼 가상자산을 배치해야 한다"며 "해당 가상자산이 가장 많이 떨어졌을 때를 퍼센티지(%)로 계산한 다음, 투자자가 허용할 수 있는 손실 한도를 정해놔야 하락장에도 안 팔고 상승장을 기다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질의 정보 제공은 곧 투자자 보호로 이어진다
오 팀장은 "생태계와 산업 자체의 성장을 위해 빗썸경제연구소를 만든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유입이 되려면 이 산업이 건전해져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선 저희가 시장과 투자자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보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투자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쉬운 말로 쓰는데 공을 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팀장은 "정책·기술적인 부분에서 어려운 부분이 많다"며 "이에 빗썸 경제연구소는 투자자 교육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 팀장은 "아직 가상자산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가 낮은 상황"이라며 "투자자들이 똑똑해지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 "이런 것들이 EGS(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라며 "오는 4분기에는 정책·기술 포럼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가상자산에는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
오 팀장은 최근 떠오르고 있는 가상자산 증권성 이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사실 증권성과 비증권성을 나누려고 하는 이유 자체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것"이라며 "증권성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성이 있고, 투자성에는 손실의 위험이 있으니까 투자자 보호를 하겠다라는 것인데, 이 투자성에 대한 잣대가 굉장히 전통 잣대"라고 지적했다.
그는 "영국 법률위원회 같은 경우는 최근에 가상자산과 대체불가능한토큰(NFT)를 완전 새로운 재산으로 아예 분류를 해야 된다라고 얘기를 하고 있고, 미국 같은 경우도 보조 자산이라는 것을 만들어 디지털 자산에 맞는 그런 법률 체계를 만들려 하고 있다"며 "가상자산을 증권성이 있다, 없다 무 자르듯이 나눌 수 있는 건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로 할 수 있는 것들은 무궁무진하다"며 "제약도 사라지고 장벽도 낮아져 기회가 많아졌다"고 기대했다.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기회들과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어떤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게 될 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