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3] 조주완 LG전자 사장 'HW 넘어 플랫폼·콘텐츠·솔루션 포트폴리오 확장'

'webOS'·'LG 씽큐' 등 非HW 분야 사업 확장 '턴어라운드' 성공한 전장 사업 성장 기대감 고조 헬스케어, 메타버스 등 미래기술에 전략적 투자

2023-01-08     남도영 기자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조주완 사장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조주완 사장이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2023' 현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LG전자의 미래 비전과 사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밝혔다.

이날 조 사장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공급망 불안이 장기화되며 경영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더 이상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다"며 "다만 위기 상황에서도 기회는 늘 있어 왔으며, 기회는 결국 고객으로부터 나온다는 신념을 가지고 위기를 돌파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조 사장은 "퍼펙트 스톰이 예상되는 시기이지만 단기적 비용감축이 아니라 불황의 장기화에도 지속적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사업 체질을 개선해 경쟁력 있는 사업 구조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또 이를 위해 "기존 사업은 사업 모델과 방식의 변화를 통해 한계를 돌파하고 신사업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내·외부 역량을 결집해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드웨어를 넘어선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조 사장은 기존 하드웨어 중심이던 사업 영역을 플랫폼, 콘텐츠 및 서비스, 솔루션 등으로 확장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런 다양한 분야의 자원을 기존에 강점을 가진 하드웨어와 연결해 맞춤형 서비스와 솔루션을 발굴,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한다는 차원이다. 

우선 전 세계 1억8000만대 이상의 LG 스마트 TV를 구동하는 독자 운영체제 'webOS'를 앞세운 콘텐츠 및 서비스 사업을 더욱 고도화한다. 광고 기반 무료방송 서비스 LG 채널 등을 필두로 하는 webOS 콘텐츠 사업의 지난해 매출은 2018년 대비 10배 가까이 성장했다. 또 재작년 인수한 알폰소는 지난해 영국, 그리스 법인을 신설하며 자동 콘텐츠 추천(ACR) 솔루션의 글로벌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또 LG전자는 재작년부터 외부 업체에 webOS를 공급하고 있는데, 현재 LG전자 외에도 300개 이상의 TV 브랜드가 자사 스마트 TV 운영체제로 webOS를 선택하고 있다.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ThinQ) 또한 기기간 단순 연동에 그치지 않고 고객 데이터를 모으고,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제품을 개발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고객경험 여정 전반을 아우르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전장 사업, 전기차 타고 엑셀 밟는다 

LG전자 전장 사업은 핵심 SW 강화, 미래기술 준비 등 지난 10년의 지속적인 투자가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증권가 등에서는 LG전자가 지난해 전장 사업에서 사업본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연간 턴어라운드를 이뤄낸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지난해 말 기준 80조원에 이르는 수주잔고는 LG전자 전장 사업의 높은 글로벌 경쟁력을 나타내고 있다는 평이다.

LG전자는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합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차세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솔루션을 준비중이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는 전기차 구동부품이 양산에 들어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등 올해부터 전장 사업이 본격적으로 성장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는 나아가 전기차 충전기 전문업체를 인수하고 경기도 평택 LG디지털파크 내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등 충전 솔루션 사업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LG전자는 전기차 충전 사업에서 SW 영역인 관제와 HW 영역인 충전기 개발 및 생산을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미래기술 전략적 투자로 포트폴리오 고도화

LG전자는 미래 핵심기술 준비에도 박차를 가한다. 특히 LG 노바(NOVA)는 북미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메타버스 등 미래기술 유망 스타트업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며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재무적 투자가 아닌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관점에서 미래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디지털 헬스케어에서는 미국 원격의료기업 암웰(Amwell)과 공동 개발한 비대면 원격진료 솔루션을 최근 북미에 선보였다. 메타버스 분야에서도 중·장기 관점에서 핵심기술을 확보하며 외부와의 협업 확대에 힘쓰고 있다. 또 전사 SW 경쟁력 강화에도 노력한다. 최고기술책임자(CTO)의 선행 연구개발(R&D)를 가속화하는 한편, SW 경쟁력 강화를 위한 내부 인력 육성은 물론이고 국내·외 대학 계약학과 및 타겟랩을 운영하며 우수 인재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고객경험 확장의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기 위해 사내벤처 육성 시스템 사내독립법인(CIC), 외부 스타트업과의 협업, 아이디어 경진대회 등 다양한 방법 또한 활용한다. 현재 사내에는 LG 틔운을 론칭한 스프라우트컴퍼니를 포함해 총 5개 CIC가 운영되고 있다.


'CX-DX' 조합으로 주력 사업 한계 돌파

LG전자는 제품 구매 이후에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며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업(UP) 가전'을 올해 북미를 시작으로 해외 주요 시장에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 또 올해 미니멀리즘 가전 콘셉트를 새롭게 선보이며 공간 인테리어 가전 LG 오브제컬렉션의 라인업을 확대한다.
 
LG전자는 이와 함께 워시타워, 크래프트아이스 얼음정수기냉장고, 스타일러 등 프리미엄 전략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동시에 볼륨존에 해당하는 라인업도 대폭 강화하며 가성비를 선호하는 트렌드에 대응, 가전 1위의 시장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LG TV는 경험과 서비스 중심으로의 체질 변화에 속도를 낸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올레드를 앞세워 한 번 경험하면 돌아갈 수 없는 불가역적 가치를 제공하고, webOS가 제공하는 콘텐츠와 서비스를 지속 고도화해 TV 시청경험을 차별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LG전자는 '고객경험 혁신을 위한 디지털전환' 관점에서 고객경험(CX)과 디지털전환(DX) 가속화로 실행력을 높이는 한편, 고객 중심의 성과 창출을 위한 근본적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낸다. 실제 무드업 냉장고, 42형 올레드 TV 등 기존에 없던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인정받는 제품들이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획, 개발돼 시장의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디지털전환 도입을 가속화하며 고객경험 혁신을 위한 근본적 체질 개선에도 속도를 낸다. 회사 내부적으로는 가전 생산의 중심축인 LG스마트파크에 디지털트윈, AI, 빅데이터 등에 기반한 지능형 공정시스템을 갖춰 생산성을 약 20%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대폭 낮췄다. 원자재 구매, 공급망관리(SCM), 서비스 등에서도 DX 적용을 확대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