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맷 '싹' 바뀌는 롤드컵...5년만에 한국으로 돌아온다

2023-01-10     이소라 기자
LoL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이 가져가는 '소환사의 컵'/사진=LCK

2023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이 한국에서 개최됩니다.

라이엇 게임즈는 10일 시즌 개막 특별전을 앞두고 공개한 영상을 통해 2023년 롤드컵이 한국에서 열리며 완벽하게 달라진 방식으로 개최된다고 전했습니다. 


5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롤드컵

지난 해 남미와 북미를 오가며 열렸던 롤드컵은 2023년인 올해, 5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됩니다. 롤드컵이 열리는 도시와 일정 등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로써 한국은 2014년과 2018년에 이어 2023년까지 총 3회 째 롤드컵을 개최하게 됩니다. 2014년에는 서울 상암에 위치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피날레를 장식했고, 2018년에는 서울, 부산, 광주를 거쳐 인천 문학경기장에서 결승전이 치러졌습니다. 

2021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LPL, 중국)에게 내줬던 우승컵을 2022년 다시 되찾아보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한국)가 세계 최강임을 증명한 가운데 한국에서 열리는 롤드컵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롤드컵 방식 확 달라진다

2023 롤드컵은 완벽하게 새로운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라이엇 게임즈는 다전제 경기수를 늘리고, 경쟁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올해 경기 방식 변경을 시도한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에는 플레이-인에 더블 엘리미네이션이 적용되고, 그룹 스테이지를 대체하는 '스위스 스테이지'가 도입됩니다. 8강부터 진행되는 토너먼트 스테이지는 기존과 동일한 5전 3선승제 싱글 엘리미네이션 제도를 유지합니다. 

2023년 롤드컵에 나설 팀은 22개로 확정됐습니다. 이 가운데 21개 팀은 각 지역별로 배정된 시드수에 따라 결정되지만 22번째 팀은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를 통해 결정됩니다. 

이 선발전에서는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리그인 LEC와 북미 리그인  LCS의 4번 시드가 5전 3선승제 대결을 펼쳐 승리한 팀이 롤드컵 막차를 타게 됩니다. 라이엇 게임즈는 향후 더 많은 지역과 팀이 참가할 수 있도록 이 선발전 시리즈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변경되는 방식, 구체적인 내용은?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의 승자는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참가합니다. 플레이-인 스테이지는 VCS(베트남)와 PCS(동남아시아)에서 참가하는 두 팀씩 네 팀과 LLA(라틴 아메리카), CBLOL(브라질), LJL(일본)에서 참가하는 한 팀씩, 선발전 시리즈를 통과한 한 팀 등 총 8개 팀이 치릅니다.  

2023 롤드컵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행 방식/사진=라이엇 게임즈

이 팀들은 네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이 도입된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경쟁합니다. 각 조는 3판 2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진행하고 한 조의 '승자조 승자'가 다른 조의 '패자조 승자'와 5판 3선승제로 16강이 겨루는 '스위스 스테이지'에 진출할 두 팀을 가립니다.

LCK(한국), LPL(중국)은 각각 네 팀씩, LEC와 LCS는 각각 세 팀씩 롤드컵에 출전하며 스위스 스테이지에 직행합니다.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통과한 2팀을 포함해 총 16개 팀이 스위스 스테이지에 임합니다. 

5개의 라운드로 구성되는 이 스테이지는 스위스 라운드 방식으로 대결이 펼쳐집니다. 쉽게 설명하면 각 라운드에서 같은 승리 및 패배 횟수를 기록한 팀들이 3승이나 3패를 기록하기 전까지 서로 경쟁하는 방식입니다.

스위스 스테이지는 팀들이 무작위로 다른 지역의 팀과 짝을 이뤄 시작합니다. 각 팀은 단판제 경기를 진행하며 1승을 거둔 팀은 1승을 거둔 다른 팀과 매치업이 성사되고 1패를 기록한 팀들끼리 경기를 치릅니다. 

2023 롤드컵 스위스 스테이지 진행 방식/사진=라이엇 게임즈

이후 2승을 거둔 팀은 2승끼리, 2패는 2패끼리 대결하며 1승1패는 1승1패끼리 맞붙습니다. 진출 또는 탈락이 확정되는 매치업은 3전 2선승제로 대결을 펼쳐 승리한 팀이 다음 라운드인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합니다.

스위스 라운드는 진정한 강자만 살아 남을 수 있는 방식이다. 동일한 성적을 거둔 팀끼리 맞붙기 때문에 라운드가 진행될수록 실력이 비슷한 팀끼리 만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충분한 경기 수가 보장되고 뒤로 갈수록 생존을 위한 치열한 대결이 이어지기에 재미를 선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즈 알레타하 라이엇 게임즈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 글로벌 총괄은 "팬 여러분들의 관심, 열정과 사랑에 힘입어 LoL 이스포츠가 열세 번째 시즌을 맞이했다"며 "지속적인 응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소라 기자 sora@te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