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美 하원, '틱톡 전면 금지' 법안 가결…中 '표현의 자유에 부정적'
미국 정부가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을 원천 봉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1일 틱톡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는 내용의 법안이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법안을 발의한 마이클 매콜 하원 외교위원장은 "이달 중 하원 전체 회의에 상정해 표결에 부치겠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그레고리 믹스 하원의원은 "더 많은 기업이 중국 진영으로 가게 해 미국 내 일자리를 파괴하고, 표현의 자유와 기업의 자유라는 미국의 가치를 훼손한다"고 우려했습니다.
브룩 오버웨터 틱톡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이 성급한 법안이 추진되는 것을 보고 실망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이는 틱톡을 통해 전 세계 수십억 명에게 미국의 문화와 가치를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라며 "틱톡을 사용하고 사랑하는 미국인 수백만 명의 표현의 자유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반발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최근 틱톡 사용 금지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7일 미국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이 연방정부 전 기관에 30일 안에 모든 장비와 시스템에서 틱톡을 삭제하라는 지침을 내렸습니다. AP통신에 따르면 미 정보보안 고위 관리는 "이번 지침은 디지털 인프라와 미국 국민들의 안전과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도 이날 사이버 공격을 우려해 연방 정부의 기기에서 틱톡을 삭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덴마크 의회는 이메일을 보내 의원과 직원들의 업무용 기기에서 틱톡을 삭제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지난 28일에는 유럽의회가 틱톡 앱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틱톡 사용 금지 조치에 중국은 "미국이 자신감이 없다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지난 28일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은 세계 최고 대국으로서, 청년들이 좋아하는 앱을 두려워하는 것은 자신감이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그는 "미국이 국가역량을 남용해 다른 나라의 기업을 무리하게 압박하는 것을 반대한다"며 "이를 중단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한편 미국 내 틱톡 사용자는 1억10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정부의 틱톡 사용 금지 조치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또 틱톡의 대응책은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