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이크로소프트, 2028년 '꿈의 에너지' 핵융합 사용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한 스타트업과 핵융합 발전을 통한 전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가까운 미래 '꿈의 에너지'라 불리는 핵융합 발전이 상용화될지 시선이 쏠립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핵융합 스타트업 헬리온 에너지는 10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와 전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헬리온은 2028년부터 핵융합 발전을 통해 매년 최소 50메가와트(MW)의 전기를 마이크로소프트에 공급합니다. 1MW는 하루 평균 1000개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또한 계약 내용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을 경우 헬리온은 MS에 위약금을 내야 합니다. WSJ은 "인류는 지금까지 핵융합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지 못했다"며 "상당히 과감한 계약 내용"이라고 말했습니다.
핵융합 발전은 태양의 핵융합을 인공적으로 일으켜 에너지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주요 연료인 리튬은 바닷물에 약 2300억톤이 녹아 있어 연료 고갈의 우려가 없습니다. 또한 같은 양의 원료로 원자력 발전보다 7배 이상의 에너지를 생산하면서 매우 안전하고 방사능 폐기물과 온실가스, 공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3년에 설립된 헬리온은 10년 이상 핵융합 발전소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헬리온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개발사 '오픈AI' 샘 알트만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021년 3억7500만달러(약 5000억원)를 투자해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알트만은 "(헬리온 투자) 목표는 전세계에 값싼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라며 한달에 한번 헬리온에 방문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헬리온은 우선 내년 7번째 상업용 원자료 프로토타입을 공개하고 핵융합 발전을 시연할 계획입니다. 데이비드 커틀리 헬리온 CEO는 "이번 핵융합 발전소는 10년 이상 걸릴 것이라는 기존 예상에서 일정을 대폭 앞당긴 것"이라며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의 계약은 이번이 첫 사례"라고 말했습니다.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부회장은 "전세계가 청정 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핵융합 에너지가 중요한 기술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과연 2028년에 핵융합 발전의 상용화를 목격할 수 있을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