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 블록체인 게임에 돈 몰리는데...김남국 사태에 멍드는 韓 블록체인 게임 시장
국내 블록체인 게임업계는 규제와 논란으로 멍들고 있다. 블록체인 게임의 국내 서비스 금지에 더해, 최근 가상자산 투자 논란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이 '게임코인'에 투자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블록체인 게임 만드는 게임사에 불똥이 튀고 있는 것이다.
가상자산 거래를 죄악시하는 분위기를 넘어 게임사들이 가상자산을 이용해 정치권에 로비를 했다는 근거 없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블록체인 대중화의 열쇠로 평가 받는 블록체인 게임에 돈이 몰리고 있다는 소식은 국내 업계에겐 먼나라 이야기다.
김남국 의원 사태에 머리채 잡힌 블록체인 게임사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투자 논란이 가상자산 업계를 넘어 게임업계까지 번지고 있다. 김 의원이 넷마블 마브렉스의 'MBX'와 위메이드의 '위믹스(WEMIX)'에 거액을 투자했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지난해 수십억원 규모의 MBX와 위믹스를 보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라 가격이 다르지만, 당시 MBX와 위믹스의 규모는 각각 약 10억원, 100억원으로 추정된다.
이에 업계선 김 의원이 비공개 정보를 전달 받아 해당 가상자산들에 투자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들이 나왔다. 심지어 일각에선 게임사들이 국회에 로비를 한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이에 게임사들은 황급히 해명에 나섰다. 위메이드는 입장문을 통해 "로비설은 사실 무근"이라고 강조했고, 넷마블도 입장문을 내고 "어느 누구에게도 사전 정보를 제공한 사실이 일체 없음을 밝힌다"고 전했다.
김 의원의 몇몇 거래선 비공개 정보를 활용했다는 합리적 의심이 가능하지만, 도를 넘었다는 것이 블록체인 게임업계의 시각이다. 정치인이 게임코인에 투자했다고 블록체인 게임업계 전체가 매도당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국회 일부선 이번 논란 이후 블록체인 게임을 도박이라 칭하며 강하게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게임이 대중화 열쇠라는데...돈 몰려도 그림의 떡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지면서, 블록체인 게임 업계의 활동 반경이 점점 좁아지고 있다. 업계선 블록체인 게임의 국내 허용이 이번 사건으로 인해 더 멀어졌다고 보고 있다. 블록체인 게임이 블록체인 대중화의 열쇠로 꼽히고 있지만 국내 시장 상황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는 모습니다.
특히 지난해부터 블록체인 게임에 투자금이 몰리고 있지만 국내 블록체인 게임업계에겐 그림의 떡인 상황이다.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제공 플랫폼 '댑레이더'의 보고서에 따르면 블록체인 게임 및 메타버스는 지난 4월 4억2100만달러(약 5600억원)를 투자 받았다. 뿐만 아니라 지난 3월에도 4억3400만달러(약 5800억원)를 투자 받은 바 있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들도 높은 수준의 개발력을 가진 국내 게임사들과 파트너십을 맻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넥슨, 네오위즈 등과 함께하는 폴리곤과 카카오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은 니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블록체인 게임이 주목 받고 있는데, 국내선 부정적인 시각이 점점 커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김남국 의원 사태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가 없는 자극적인 말들이 쏟아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그는 "김 의원의 가상자산 지갑 주소는 특정했지만, 사실상 밝혀진 것은 없다"며 "내부정보 이용, 자금출처 등은 수사가 진행되어야 밝힐 수 있다. 근거 없이 업계는 매도해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