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CEO '지금까지 투자, 韓 잠재력 비하면 겉핥기'
방한한 테드 서랜도스 최고경영자(CEO)가 "지금까지 한 것은 향후 잠재력 생각하면 겉핥기 투자"라며 한국 콘텐츠 시장을 추켜세웠다. 넷플릭스는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에 국빈 방문했을 때 한국 콘텐츠에 25억달러(약 3조 2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22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한국 콘텐츠 이야기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서랜도스 CEO를 포함해 강동한 한국 콘텐츠 총괄 VP, 이성규 한국 및 동남아·대만 프로덕션 총괄 시니어 디렉터 등 콘텐츠 관련 주요 임원들이 참석했다.
서랜도스 CEO는 "넷플릭스는 2억3000만 가구에 30개 언어로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라며 "넷플릭스가 2016년 론칭했을때 미국 콘텐츠를 수출하는 '할리우드의 전형적인 공식'을 따를 것이라 예상했지만, 우리는 다른 길을 택했다. 오리지널 로컬 콘텐츠를 50개국에서 발굴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결과, 전세계 시청자 60% 이상이 한국 콘텐츠 시청했다. 지난 4년 동안 전세계 넷플릭스 회원의 한국 콘텐츠 시청 6배 증가했다"라며 "카터, 지금 우리 학교는, 더 글로리가 90개국 이상에서 넷플릭스 톱 10에 드는 기염 토했다. 오징어게임은 전세계 가장 흥행한 콘텐츠"라고 언급했다.
서랜도스 CEO는 "지금까지 한것은 향후 잠재력 생각하면 겉핥기 투자다. 향후 5년간 한국에 25억달러 투자하겠다. 넷플릭스가 지난 2016년부터 지금까지 투자한 금액의 두 배"라며 "거장에만 해당하는 이야기 아니다. 넷플릭스는 한국전파진흥협회와 손잡고 젊은 학도들이 경력 쌓도록 돕고 있다"고 했다.
이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넷플릭스 한국 시리즈 및 영화 다섯편 중 한편이 신예작가 혹은 감독의 데뷔작"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랜도스 CEO는 20일부터 22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방한했다. 이 기간 한국 콘텐츠 투자 계획과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