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기난동 본질은 정신건강 관리...'게임탓은 쉬운 원인 찾는 것'
범죄의 원인을 게임으로 지목하는 것에 대해 국내외 정신건강의학계의 비판이 쏟아졌다. 한덕현 중앙대학교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신림동 흉기난동 사건의 본질은 정신건강 관리라고 말했다. 아울러 블라단 스타서빅 시드니대학교 정신의학 교수도 각종 범죄의 원인을 게임으로 돌리는 것은 쉬운 원인을 찾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17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게임문화재단 국제심포지엄 '게임 문화 Game on Culture' 기자간담회에서 한덕현 교수는 신림동 흉기난동 사건의 본질로 국민 정신건강 관리 부실을 지목했다. 이날 한 교수는 "(신림동 흉기난동) 사건의 본질을 아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며 "본질은 게임을 많이 한 사람이 게임을 흉내내서 사람을 죽였다는 것이 아니다. 일반 국민들의 정신 관리에 대한 것들이 허술해서다"라고 말했다.
이어 블라단 스타서빅 교수는 "살인사건 등 범죄를 게임이용장애나 게임중독으로 귀결시키는 것은 일반화를 통해 쉬운 답변을 찾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는 "끔찍한 사고 뒤에는 다른 원인이 있을 것"이라며 "비슷한 뉴스를 보고 연구를 한 적이 있는데,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복잡적인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또 에스펜 올세트 코펜하겐IT대학교 게임학과 교수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게임을 한다. 이제는 게임을 하는 것이 굉장히 일반적"이라며 "오히려 게임을 하지 않으면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런 생각이 들 정도로 게임이 일반성을 띄게 됐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쥬노 킴 왕립덴마크예술학교 시각예술학과 교수는 "스웨덴의 예시를 들면, 고등교육에서 게임을 교육 매체로 사용한다. 만약 스웨덴 정부가 게임을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장치라고 했다면 게임을 통한 교육적 플랫폼 제공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폭력적인 범죄에 대해선 사회적인 문제를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