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달 탐사 위해 토종 기술로 개발된 '루셈'…미국 NASA로 이송 시작
과기정통부·천문연, 공공 연구 위해 '달 우주환경 모니터' 개발 미국 이송해 내년 발사 추진…도착 후 발사 준비 작업 수행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의 무인 달착륙선을 통해 내년 달에 발사헤 과학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 루셈)' 탑재체의 개발이 완료돼 미국으로 이송을 시작했다고 4일 밝혔다.
루셈은 한국천문연구원이 국제 달 탐사 공동연구 추진을 위해, 미국 NASA의 CLPS 계획에 참여해 개발한 탑재체다. CLPS 계획은 미국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하위 계획으로서, NASA 주관으로 달의 과학적 탐사, 상업적 개발 등과 관련된 탑재체를 실은 무인 달착륙선을 매년 발사하는 계획이다. 천문연은 착륙선에 탑재할 과학 탑재체 중 4종을 개발해 달 탐사 과학 임무를 공동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루셈은 50킬로전자볼트(50keV) 이상의 고에너지 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다. 천문연 주관으로 경희대 우주과학과 선종호 교수 연구팀과 함께 개발했으며 국내업체인 쎄트렉아이가 제작을 담당했다.
루셈은 센서부와 전장부, 그리고 두 장치를 연결하는 전선으로 이뤄져 있다. 이 중 센서부는 고에너지 입자를 관측하는 주 장비로서, 위와 아래의 양방향 관측이 가능한 검출기 2기로 구성되어 있다. 두 쌍의 검출기는 각각 한쪽은 전자를, 다른 한쪽은 양성자를 검출한다.
루셈은 항공포장을 마친 뒤 미국으로 이동된다. 우선 무진동 차량에 실려 대전을 출발해 인천공항에 도착한 후 항공운송을 통해 텍사스주 휴스턴에 위치한 인튜이티브 머신즈로 이송된다. 이후 착륙선과의 인터페이스 시험 및 기능시험 등의 발사 준비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조선학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아르테미스 약정 서명 후 추진해온 첫 번째 협력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서 우리나라의 참여 범위를 확대하고 우주분야 국제공동연구의 장을 넓혀나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