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MO 23] 일상에 스며드는 생성형 AI '플랫폼 가능성 무한하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이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플랫폼이 데이터에 기반해 정보의 공급과 수요를 정확히 예측해 사용자들에게 접근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넥스트 모빌리티 : NEMO 2023' 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는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 올리버 레츠버그 구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인공지능·데이터(AI·DA) 부사장이 기조연사로 참석했다. 이들은 기조연설을 마친 후 'AI 시대: 플랫폼의 무한한 가능성'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레츠버그 구글 부사장은 생산성 향상을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가 늘어날수록, 이를 내재화한 플랫폼의 가치가 커질 것"이라며 "데이터를 로딩하거나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와 결합하는 것 등 전수명에 걸쳐서 플랫폼상에서 자동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는 생산성을 엄청나게 늘릴 것"이라며 "인력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생산성은 3~4배 커질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 또한 이에 공감했다. 특히 일상 경험의 혁신이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봤다. 김 대표는 "AI가 등장하면서 다양한 과제 간의 통합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플랫폼을 통한 예약과 결제 등을 AI로 이뤄내 공급과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CTO는 "신기술이 등장하면, 업종 불문하고 기존 서비스 질 좋아진다. 업계 전체 판도가 대변혁이 이뤄지는 것"이라며 "온라인 웹 모바일상에서 이용자는 개인화된 경험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용자 입장에서 이보다 좋은 것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플랫폼은 경쟁해야 한다. 새로운 기술 도입해서 앞장서서 나서야 한다"라며 "인터넷과 모바일이 우리 일상생활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보면, 사람들이 정보 접근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앞으로는 AI 친화적인 포맷으로 플랫폼이 바꿔야한다. 생성형 AI 접근성 좋은 식으로 변화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