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이 원하면 '토스증권'이 만든다...WTS·회사채·파생상품으로 1등 증권사 '도전장'
3주년을 맞은 토스증권이 최우선 순위를 '고객의 수요'에 두고 고객 편의를 개선하는 다양한 상품들을 출시한다. 고객이 원하는 부분을 고객 행동 데이터 분석과 소비자 민원(VOC) 대응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상품으로 내놓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올해는 ▲웹트레이딩 시스템(WTS) ▲미국 회사채 ▲해외 파생상품을 출시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겠다는 의지다.
WTS·美 회사채·해외 파생상품으로 고객 잡는다
14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토스증권 3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김승연 토스증권 대표가 WTS, 미국 회사채, 해외 파생상품을 통해 B2C 영역에서 1등 증권사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먼저 토스증권은 내달 PC 기반 거래 시스템인 WTS을 내놓는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김승연 대표는 "타사 WTS와의 차별점은 모바일로 로그인하고, 모바일로 인증하고, 모바일에서 했던 것들을 PC로 보낼 수 있는 연계 서비스"라며 "WTS는 사내 테스트 중으로 내부적으로도 아주 기대되는 상품"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100만원 있어도 구매할 수 있는 미국 회사채 상품도 선보인다. 김 대표는 "타사에선 미국 대형 기업 회사채는 2000~3000만원 정도 있어야 구매할 수 있다"며 "토스증권은 투자자들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수준의 가격으로 낮춰서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고 말했다. 토스증권에선 1000달러만 있어도 회사채에 투자할 수 있다.
또 하반기엔 해외 파생상품 상품도 출시해 고객의 투자 선택지를 넓힌다. 이처럼 다양한 상품으로 고객들의 성원에 보답하겠다는 것이다.
최우선 순위는 고객의 수요...데이터와 VOC로 확인한다
토스증권이 WTS, 미국 회사채, 해외 파생상품을 출시하는 이유는 고객의 수요에 있다. 고객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다음 서비스를 고민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토스증권의 강점은 고객의 목소리를 잘 받아들이고 분석해서 상품에 녹여내는 부분이라고 전했다. 그는 "고객 의견을 반영해 토스증권은 진화하고 있다.
특히 토스증권은 고객의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VOC와 더불어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고 있다. 김규빈 토스증권 최고상품책임자(CPO)는 "VOC만으로 고객의 수요와 사업적인 우선순위를 판단할 순 없다. 그래서 토스증권은 모든 제품 조직에 한명의 디지털 애널리스트를 배치했다"며 "고객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데 굉장히 많은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직접 고객을 만나 고객들이 현재 겪고 있는 문제점과 불편함들이 무엇인지 자세히 듣고 반영하고 있다"며 "데이터 분석과 고객과의 직접적인 만남, 이 두가지를 통해 고객들의 수요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김 대표는 올해 토스증권 실적에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1분기 결산 전이라 조심스럽게 예측해 보는데, 1분기 실적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의 2배 정도로 보고 있다"며 "그리고 지난 2년 동안 토스증권이 300억원씩 실적을 개선했는데, 올해도 그 정도 개선하는 것을 내부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