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람다, AI 동맹체제 구축...12월 서울에 AI데이터센터 연다
SK텔레콤이 미국의 '람다'와 손잡고 올 연말 서울에서 AI데이터센터를 연다. 람다가 보유하고 있는 엔비디아 GPU 자원을 SK브로드밴드의 서울 가산 데이터센터에 이식하는 것. SKT는 AI 데이터센터에 배치할 GPU를 3년 안에 수천대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SKT는 람다와 'AI 클라우드 공동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다양한 영역에서의 전략적 협업을 강화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안정적인 GPU 공급을 바탕으로 한 GPUaaS 사업 확대와 람다의 한국 리전 설립 등도 추진한다.
양사는 오는 12월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에 위치한 기존 SK브로드밴드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 GPU 'H100'을 배치한다. 전 세계에서 생성형AI의 성장으로 인해 국내 GPU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3년 내 GPU를 수천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최신 GPU 모델인 'H200'도 조기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가산 데이터센터를 시작으로 엔비디아 단일 GPU로 구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GPU Farm'을 확충하는 것이 목표다.
람다는 2012년 AI 엔지니어들을 주축으로 설립됐다.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GPU를 공급 받아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람다의 고객사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람다는 지난 2월 회사 가치를 15억달러로 평가받고, 3억 20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떠오르는 AI 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오는 12월 AI 데이터센터 오픈에 따라 람다의 한국 리전도 개소하게 된다. 람다 GPU 기반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내 기업들의 데이터는 한국 리전에 저장된다.
SKT는 람다 GPU 자원을 기반으로 구독형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GPUaaS'도 12월 출시할 계획이다. 'GPUaaS'는 기업고객이 AI 서비스 개발이나 활용에 필요한 GPU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 클라우드를 통해 가상 환경에서 자원을 빌려 쓰는 서비스다. 공급이 부족하고 가격이 높은 GPU를 직접 구매하기 부담스러운 대기업이나 중소 · 스타트업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에 사용할 수 있다.
SKT는 'GPUaaS' 출시와 함께 GPU 교체 보상 프로그램,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컨설팅, AI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등 국내 스타트업, 중견 · 중소기업 대상의 다양한 프로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김경덕 SKT 엔터프라이즈 사업부장은 "람다와의 전략적 협력으로 GPU를 안정적으로 확보한 것은 국내 GPU 공급 확대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GPU Farm을 구축해 국가 AI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