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 티메프 사태 직격에 3분기 적자전환...'게임 8종 출시 등 수익 중심 성장 주력'(상보)
티메프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NHN이 게임 신작 8종을 중심으로 수익 중심의 내실 성장을 이어간다. NHN페이코는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해 사업구조를 개선하고, NHN클라우드는 신규 수주에 박차를 가한다.
3분기 영업이익 적자전환..."티메프 사태 영향"
NHN은 연결기준 3분기 매출 6084억원, 영업손실 1134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이번 분기에는 게임, 결제·광고, 기술 등 전 사업군의 고른 성장세가 분기 최대 매출을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티메프 사태로 인한 미회수채권의 일회성 대손상각비 반영 영향으로 1134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회사는 일회성 대손상각비 제외 시 3분기 영업이익은 2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8%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 매출은 게임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1125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 '한게임포커 클래식' 출시 5주년 이벤트 호조와 추석 연휴 등의 영향으로 전체 웹보드게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다. '한게임포커 클래식'은 3분기 월간 신규 이용자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바 있다.
결제·광고 부문 매출은 NHN KCP 국내외 가맹점 거래 규모가 지속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해 2926억원을 기록했다. NHN페이코의 기업복지솔루션 사업은 3분기 거래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고, 10월 스타벅스를 신규 식권 가맹점으로 확보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NHN커머스 중국 사업 신규 브랜드 협업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한 610억원을 기록했다.
기술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한 1027억원을 달성했다. NHN클라우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컨설팅 사업의 매출 반영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2.5% 증가했다. NHN두레이는 공공 부문 매출이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 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505억원을 기록했다. NHN링크는 스포츠, 공연 매출이 고르게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33% 증가했다.
100억원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신작 8종으로 내실 성장 주력
NHN은 게임 사업을 필두로 유의미한 실적 개선에 나선다.
회사는 지난 9월 소셜 카지노 게임 '페블시티'를 소프트 론칭 한 뒤 현재 각 국가에서 기술 검증 과정을 거치고 있다. 게임은 내년 2월 북미와 서유럽을 중심으로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또 '다키스트데이즈'는 모바일과 PC 버전을 동시 출시한다. 내년 2월에는 스팀 넥스트 페스트에서 파이널 테스트를 진행한다. 아울러 서브컬처 장르 '스텔라판타지'는 게임명을 '어비스디아'로 변경하고 출시 시기를 내년 2분기로 확정했다. 내년 출시 예정작은 총 8종이다.
NHN페이코는 비상경영체제를 갖추고 사업구조 개선과 비용 효율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회사 NHN KCP와 시너지를 도모하기 위해 내년 1분기 중 NHN KCP의 구로 사옥으로 본점을 이전할 예정이다. 수익성 개선을 위해 쿠폰과 B2B(기업 대상) 사업 등 주력 사업에 전사 역량을 집중한다.
NHN클라우드는 지난 9월 범정부 서비스 통합창구 클라우드 임차 사업 수주를 비롯해 올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관련 사업에서 전체 규모의 60% 이상을 수주한 바 있다. 이외에도 국방부, 우주항공청 등 공공 부문에서 신규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
NHN두레이는 국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업계 최초의 금융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CSP) 안정성 평가를 바탕으로 금융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 최근 출시한 '두레이 AI'로 인공지능(AI) 협업툴 시장도 공략한다.
NHN은 내년에도 예년 수준의 배당을 실행한다. 발행주식 총수의 3%에 해당하는 자사주를 추가로 매입해 매입분 전량을 2025년 연내 소각할 계획이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약 311억원의 자사주를 매입한 데 이어 이날부터 약 1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에 나선다.
정우진 NHN 대표는 "비록 티메프 사태로 인한 일회성 비용 반영이 단기적인 수익성에 영향을 미쳤지만 해당 영향을 미반영시 영업이익 증가율이 두 자릿 수에 이를 만큼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손익 개선이 이뤄졌다"며 "NHN은 2025년 출시 예정 신작 8종의 성공적인 런칭을 위해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매진하는 한편 그룹 전반의 지속적인 경영 효율화를 통해 전 사업 부문에서 수익 중심의 내실 성장에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