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오픈AI, MS와 지분 재협상...공익법인 전환에 새 파트너십 논의
오픈AI가 회사 구조를 공익법인으로 전환하려는 가운데,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지분율 등을 포함한 새 파트너십 조건을 두고 협상에 나섰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오픈AI가 비영리 조직이 통제권을 유지하는 구조를 택한 이후, MS와의 기존 투자 계약을 재조정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당초 오픈AI는 비영리 조직의 통제를 벗어나 영리를 추구하려 했지만, 결국 비영리 조직의 지배구조를 유지한 바 있습니다.
MS는 2019년부터 현재까지 오픈AI에 총 130억달러를 투자해 현재 약 4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협상의 핵심은 향후 오픈AI의 새로운 지분 구조 내에서 MS가 어느 정도의 권리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관한 부분입니다. MS는 2030년까지 유효한 기존 계약에 따라 오픈AI 기술에 대한 접근 권한과 수익 분배 권리를 갖고 있지만, 공익법인 전환으로 상황이 달라지며 조율이 필요해졌습니다.
관계자에 따르면 MS는 향후 개발되는 신기술에 대한 우선 접근권을 조건으로, 일부 수익 사업에서의 지분을 포기하겠다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오픈AI의 기업공개(IPO) 가능성을 열어주되, MS의 전략적 이점을 유지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양사는 협력 관계를 지속해 왔지만, 최근 오픈AI가 일본 소프트뱅크, 오라클 등과 함께 '스타게이트'라는 독자적 AI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긴장감이 커졌습니다. 스타게이트는 향후 4년간 500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담고 있으며, MS와의 컴퓨팅 의존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MS 내부에서는 오픈AI의 태도를 두고 불만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FT에 따르면 한 고위 임원은 "우리는 협력하고 싶지만, 오픈AI는 독립성과 우위를 고수하려 한다"며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습니다.
오픈AI 측은 "협상은 복잡하지만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본다"고 전하며 긴장을 완화했습니다.
오픈AI가 공익과 기술의 균형을 추구하는 구조 개편을 이어가는 가운데, 두 기업의 협력이 어떤 방식으로 재정립될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