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흐름에 부합하는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 시급'...핀테크 전문가들 한 목소리

2025-05-14     조성준 기자
'K-비트코인 현물 ETF : 미래금융의 게임체인저' 컨퍼런스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 조성준 기자

국내 금융, 핀테크 업계가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히며 지원에 나섰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 국내 금융 시장과 투자자들 사이에서 제도권 내 투자 환경 구축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는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K-비트코인 현물 ETF : 미래금융의 게임체인저'를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핀산협과 한국금융투자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국내외 학계·법조계·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비트코인 현물 ETF의 국내 도입 필요성과 제도적 과제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이근주 핀산협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비트코인 현물 ETF는 가상자산 시장과 자본시장의 접점을 넓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며 "제도적인 과제들이 해결되면 참여 확대로 이어져 가상자산 시장의 건전성과 투명성이 제고되는 선순환구조를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K-비트코인 현물 ETF : 미래금융의 게임체인저' 컨퍼런스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조성준 기자

이날 정유신 핀산협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은 '디지털자산 트렌드와 해외 금융기관 동향'을 주제로 기조발표를 진행했다. 정유신 원장은 "스테이블코인, 토큰증권, RWA 등 디지털자산이 금융의 변방이 아닌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비트코인 현물 ETF는 이러한 변화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호 법무법인 K&L Gates 변호사는 '홍콩의 디지털자산 ETF 현황과 관련 법규체계'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홍콩은 현물 설정·환매 방식, SFC 승인 수탁기관을 통한 커스터디, 공신력 있는 지수, 전문 운용사 요건 등을 통해 제도적 유연성을 확보했다며 신기술에 따른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보호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용우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는 '국내 비트코인 ETF 상품 출시를 위한 법적 쟁점' 주제발표를 통해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을 위해 자본시장법상 기초자산 및 지수 요건에 대한 명확한 해석 또는 개정이 필요하다"며 "수탁 인프라 및 신탁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종욱 웨이브릿지 대표가 'K-비트코인 현물 ETF : 미래금융의 게임체인저' 컨퍼런스에 참석해 주제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 조성준 기자

오종욱 웨이브릿지 대표는 비트코인 현물 ETF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전통 금융 수준의 커스터디와 유동성, 프라임 브로커리지 인프라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구태 인피닛블록 대표는 가상자산사업자가 단순한 거래 역할을 넘어 디지털자산 기술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제도권 투자 인프라를 함께 구축할 파트너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지금이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의 골든타임이라는 주제에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용재 미래에셋 증권 수석은 "투자자 보호를 위해 ETF의 원활한 운용은 필수불가결하다"며 "ETF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가상자산 거래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으며, 탄탄한 자본을 갖고 있는 플레이어가 국내 시장에서도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근환 SK증권 상무는 "비트코인 ETF 상장 시, 투자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투자상품이 되도록 거래소·운용사, 특히 지분 투자한 해피블록 등 기관 주문처리 체계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