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희 삼성SDS 대표 'AI 에이전트 시대, 공공·금융 시장 빠르게 개척'
이준희 삼성SDS 대표이사가 AI 에이전트 시대를 맞아 진화된 솔루션으로 공공과 금융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혀가겠다는 포부를 밠혔다.
이준희 대표는 26일 삼성SDS 잠실캠퍼스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 참석해 "이제는 AI가 사용자의 지시를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해 업무를 수행하는 '에이전트'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AI가 사용자의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생산성을 한층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기업용 생성형 AI는 초기 챗봇처럼 단순한 보조 도구로 시작했지만 이제는 대량의 학습 지식을 바탕으로 지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단계에 도달했다"며 "AI 기술의 경쟁 축이 에이전트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반으로 목표 달성을 위해 도구를 스스로 선택하고 반복 활용하는 지능형 시스템"이라며 "그 핵심은 결정 주체가 사람에서 AI로 이동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SDS는 이를 실현하는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 ▲업무자동화 도구 '브리티 오토메이션(Brity Automation)'을 공개했다. 이들 서비스는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중심에 두고 설계됐다.
이 대표는 "지난해 출시한 업무용 생성형 AI를 발전시키면서 공공과 금융시장에서도 누구보다 빠르게 시장을 개척해 리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삼성SDS는 현재 행정안전부 범정부 초거대 AI 기반 공통 기반 구현 사업과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에 '패브릭스'를 적용해 시장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무원들이나 국회에서 생성형 AI를 실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300여개 기관 약 72만명의 공무원이 사용하는 '온나라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에는 '브리티 코파일럿'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삼성SDS의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서비스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통합 구조도 함께 소개됐다.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기반으로 안전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고, 기업 고객이 내부 데이터를 활용해 AI 에이전트를 구축·활용할 수 있도록 '패브릭스'와 연계된 환경도 제공한다.
이 대표는 "AI 에이전트 기술이 기업과 공공 영역 모두에서 실질적 업무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겠다"며 "삼성SDS는 고객의 AI 전환을 가장 잘 도울 수 있는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