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W, 연례 컨퍼런스 'SIS 2025' 개최...AX·보안·데이터 등 산학연 전문가 한자리에
4년째 컨퍼런스 개최...AI 시대 데이터 의미 짚어 SAIP 라이트·퀘이사 등 체험존.도..."지식 공유의 장"
S2W가 연례 기술 컨퍼런스를 4년째 이어갔다. 올해는 AI 시대 데이터의 의미를 짚었다. 기업의 AI 전환 전략과 AI 기술을 활용한 외부 공격 등 각계 전문가들의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S2W는 26일 서울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연례 기술 컨퍼런스 'SIS(S2W 인텔리전스 서밋) 2025: 무브먼트'를 개최했다. 'SIS'는 기술과 데이터가 일상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함께 논의하는 지식 교류의 장이다. 2022년부터 시작된 S2W 주관 행사다.
올해 행사는 'AI와 데이터 사회'를 주제로 열렸다. 기술 트렌드의 움직임과 데이터 흐름을 의미하는 '무브먼트'를 테마로 정했다. 기업과 학계, 공공기관 소속 AI·보안 전문가들의 실무 경험과 기술 인사이트가 공유됐다.
AX부터 AI 보안까지...S2W 솔루션 체험존도
기조연설은 신승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맡았다. '혼돈에서 통찰로: AI가 데이터에서 의미를 찾는 법'을 주제로 진행했다. 신 교수는 데이터 수집부터 분석과 통찰 도출에 이르는 전 과정 속에서 AI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다양한 사례를 소개했다.
트랙 1에서는 ▲기업 AI 전환(AX) 퀵인 전략과 적용 사례 ▲시큐에이더: 디지털 해양시대를 위한 사이버보안의 새로운 정의 ▲롯데멤버스 '세그먼트 랩' 구축기 ▲소비자를 복제하다: 합성 소비자가 바꾸는 시장조사의 미래를 주제로 국내 기업 관계자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트랙 2에서는 ▲AI 도입의 숨은 비용? 위기를 기회로 ▲AI로 강화되는 국가 배후 공격 조직의 가상자산 탈취 ▲AI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기술 동향 ▲진정성 있는 AI를 만들기 위한 반성에 관해 산업계·학계·공공기관 소속 전문가들이 발표했다.
이밖에도 광학문자인식(OCR)과 검색·증강·생성(RAG),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등 차별화된 AI 기능을 선보이는 S2W 기업용 경량 생성형 AI 플랫폼 'SAIP 라이트'와 방문객이 속한 기업의 데이터 유출 현황과 동종업계 및 산업의 위협 동향을 탐지하는 기업·기관용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CTI) 플랫폼 '퀘이사'를 체험해볼 수 있는 라이브존이 운영됐다.
서상덕 S2W 대표는 "SIS가 산업계·학계·공공부문이 함께하는 기술 인사이트 교류의 장으로서 입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데 대해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향후에도 안보와 산업을 아우르는 AI 생태계 전반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식 공유의 기회를 적극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설립 7년 IPO 본격화...해외 매출도 상승세
한편 S2W는 2018년 설립된 빅데이터 분석 AI 기업이다. 국가안보 및 기업 정보 분석 사업을 주력으로 한다. 세계경제포럼(WEF) '2023년 100대 기술 선도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주요 AI 솔루션 제품은 ▲공공·정부 기관용 사이버안보 빅데이터 플랫폼 '자비스' ▲기업용 인텔리전스 플랫폼 '퀘이사' ▲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SAIP' 등이다. 멀티도메인 교차분석 기술이 적용됐다.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의 대기업 및 주요 정부기관에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이터 인사이트를 제공 중이다. 최근에는 SK쉴더스와 AI 기반 솔루션의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이노션과 'AI 얼라이언스'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업 고객의 AX 가속화에 협력했다.
또 일본 NHK 시사 프로그램 '클로즈업 현대'에 출연해 자체 개발 다크웹 언어모델인 '다크버트' 기반 범죄 추적 기술을 소개했다. '인터폴' 파트너로서 국제사회 안보 강화를 위해 공조하는 한편 마이크로소프트(MS) '시큐리티 코파일럿'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등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이 같은 활동에 힘입어 S2W의 지난해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6배 이상 성장했다. S2W는 올해 하반기 증시 입성을 목표로 기업공개(IPO) 공모 절차를 본격화한다. 코스닥시장 상장 예비심사도 통과했다. 안보와 산업을 아우르는 AI 솔루션 라인업을 바탕으로 탄탄한 실적과 성장세를 더해 상장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