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기정통부 'GPU 확보 시기 앞당겨야'...AI 강국 도약 '속도전' 강조
1~2년 내 마중물 마련 강조 외산 CSP 의존 심화 경계도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세부 계획안을 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24일 네이버 각 세종 AI 데이터센터(DC)를 방문해 "빠른 시간 내 GPU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며 속도 중심의 'AI 3대 강국' 실행 전략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AI 3대 강국' 실현은 이재명 정부가 최우선 공약이다. 이를 위해 당초 계획안을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것보다 국제 정세 변화에 맞게 속도를 높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GPU 5만장 확보 등 AI 고속도로를 구축해 'AI 3대 강국' 도약의 기틀을 마련하는 5개년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민관이 협력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하고, AI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내용이다.
이날 산학연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그는 "GPU 확보 시기를 앞당겨 이를 확산할 수 있는 체계를 빠르게 만들어야 한다"며 "학계와 산업계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1~2년 내 얼마나 빨리, 또 최대한 마중물을 마련할 수 있는지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수한 인재들이 미국으로 많이 유출되고 있는데, 이들을 유치하고 국내에서 육성하는데도 이는 중요한 요소"라며 "스타트업에서도 AI 서비스를 만드는데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도록 빠르게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하되 민간이 자율적으로 투자하고 시장을 키워가는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며 "반드시 성공시키지 않으면 우리 AI 생태계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부처에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배 장관은 이날 외산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분명히 했다.
그는 "외산 CSP 사업자에 의존하게 되면 우리 기술력으로 경쟁력 있는 글로벌 AI 서비스를 만드는 부분에 있어 한계점을 드러내게 된다"며 "그런 측면에서 기반 인프라가 되는 국내 AI 데이터센터(AIDC) 구축이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규제 장벽, 인허가 지연 등 국내 AI 업계의 애로사항과 세제 혜택 등 진흥안에 대해서도 꼼꼼히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오늘 간담회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도 정부가 무조건 드라이브를 건다고 해서 같이 가자는 것이 아니라 기업들의 입장을 듣고 수렴해서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의지의 일환"이라며 "민간 기업이 AI로 성공 사례를 만들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갖춰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