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GPU 20만장 확보 도전...글로벌 톱 AI 모델 만들어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 개최
'국가대표 AI 기업'으로 선출된 네이버, LG AI연구원, SK텔레콤, NC AI, 업스테이지 등 5개 정예 기업과 정부가 AI 강국 도약을 뒷받침할 세계적인 AI 모델 개발 의지를 다졌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9일 서울 중구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에서 열린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에서 "라마(Llama) 대신 우리 모델을 쓸 수 있는 날을 만들어야 한다"며 "그동안 소버린 AI 얘기를 많이 했는데, 이제는 소버린을 넘어 포용적 AI로, 글로벌 수준에 도전한다는 목표를 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민관 협력을 통해 AI 시장을 활성화하고 범국가 차원의 AI 전환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내년 AI 연구개발(R&D) 예산이 10조1000억원으로 올해 대비 3배로 늘었고 GPU 확보 목표도 2028년까지 5만장을 확보하겠다는 도전적인 계획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또한 "과기정통부 내부에선 더 높은 목표로 2030년까지 GPU 20만장을 확보해보자는 의견도 냈다"며 "이 정도 도전적 목표를 수립해야 진정한 AI 3대 강국으로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태극마크' 단 국대 AI 기업들..."최고의 결과물 내겠다"
착수식에는 과기정통부 배경훈 장관을 비롯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박윤규 원장,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 업스테이지 김성훈 대표, SK텔레콤 유영상 대표, NC AI 이연수 대표, LG AI연구원 임우형 원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선 'K-AI' 앰블럼 수여가 진행됐다. 정예팀 대표들이 상패를 수여받았으며, 이날 이후부터 정예팀은 K-AI 앰블럼을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국가대표 AI 기업들에게 부여된 '태극마크'인 셈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K-AI가 기술적 자랑에 머물지 않고 국민 삶과 산업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며 "이번 프로젝트의 결과물들이 실제 국민의 삶의 질 개선과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우리 기술로 만들 수 없다면 'AI 3강'은 모래성과 같을 것"이라며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은 '해야된다'가 아니라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우리가 쓸 여러 모델을 직접 개발해 서비스를 만드는 주권적 의미가 크다"며 "과거 우리 선배들이 불가능에 가까운 도전으로 세계적인 통신 강국, D램 세계 1등, 자동차 톱3를 이룩한 독립의 씨앗을 뿌린 것처럼 이번 프로젝트도 처음부터 글로벌을 목표로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게임 콘텐츠 분야의 AI 개발을 오래 해온 기업으로 많은 이용자들에게 서비스한 역량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AI 서비스가 잘 정착되고 산업화되는 데 역할을 고민하고 있다"며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해 함께 글로벌 나갈 수 있도록 기술적, 사업적으로 역량을 발휘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임우형 LG AI연구원 원장은 "혹자는 무모한 도전이라고 얘기하지만, AI 기술 확보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 성장 자체를 고민해야 하는 시기"라며 "우리나라가 한 발 더 도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기대하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톱 모델 개발 위한 모든 지원할 것"
이날 착수식에서 참석자들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서의 ▲최고 수준(SOTA, State Of The Art)급 독자 AI 모델 개발 도전 계획 ▲단계평가 추진방안 ▲공공·경제·사회 등 전분야 AX 혁신 지원방안 ▲'모두의 AI' 생태계 기여 방안 ▲글로벌 파급력 확산 방안 등의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기업들은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더불어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저작권 및 개인정보 이슈 해소 ▲멀티모달 및 피지컬 AI 데이터 확보 노력 ▲AI 인재 확보 및 노하우 축적 ▲'모두의 AI' 구현을 위한 민관 협력 방안 마련 ▲제조 AI 분야 활용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배경훈 장관은 "지금이 AI 골든타임으로, 지금 기회를 놓치면 독자 AI 얘기를 할 수 없을 것이고, 남이 만들어 준 모델로 서비스를 개발해야 할 것"이라며 "AI 시대는 이미 왔고, 더 강하게 올 것이다. 이 기반이 되는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글로벌 톱 수준으로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또 "정부는 마중물 역할을 할 수는 있지만 계속할 순 없다. 민간이 시장을 만들어 성공해 재투자해달라"며 "대신 정부가 안되는 건 다 제거하겠다. 각 장관들과 만나 데이터 규제, 개인정보 이슈, 저작권 문제를 적극 해결하겠다. 모든 걸 동원해 참여한 기업들이 최고 성능의 모델을 만들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AI 정예팀은 올해 말 진행될 1차 단계평가를 통해 4개팀으로 압축된다. 과기정통부는 국민·전문가 평가, 벤치마크 등 기반 검증평가(AI안전성 연계), 파생 AI 모델 수 평가 등을 포함한 입체적 단계평가를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5개 정예팀들과의 협의를 통해 세부 방향 등을 마련하되, 단계평가의 공정성·전문성 등 차원에서 단계평가 1개월 전 세부 추진방안을 공개할 계획이다. 이 일환으로 12월 말 대국민 컨테스트도 마련된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