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 이어 '하도급지킴이'도 복구...명절 전 국정자원 화재 여파 수습 '진땀'

추석 이후 국정감사 자료 제출 차질 가능성도

2025-10-01     임경호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정부가 추석을 앞두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 시스템 장애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 여파는 명절 이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자격으로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대본 7차 회의를 열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 시스템 장애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달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96개 시스템이 전소된 데 따른 후속조치다. 

정부는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본원에서 가동 중인 647개 국가 행정 시스템 전원을 모두 차단하고 순차적으로 재가동 중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복구율은 14.99%다. 총 97개 시스템이 재가동됐으며 이 중 1등급 시스템 21개가 포함됐다. 

정부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급한 불 끄기에 나섰다. 명절 수요를 고려해 앞서 우체국 우편, 금융 서비스를 우선 복구한 데 이어 하루 전 하도급지킴이 시스템을 재가동했다. 윤 장관은 "임금 미지급이나 지연지급에 대한 우려가 완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자원에 현장상황실도 설치했다. 행안부 차관이 현장상황실장을 맡아 시스템 복구 상황을 점검한다. 이재명 대통령도 전날 국무회의를 통해 각 부처와 산하기관의 보안과 안전 시스템을 점검해 보고토록 지시했다. 

기업들도 지원사격 중이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정부의 대국민 메시지를 전달했고, 티맥스티베로는 공공시스템 복구 지원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축했다.

다만 여파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국정자원 대구센터에 마련된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인프라를 전소된 시스템 복구에 활용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적어도 4주 이상이 소요될 예정이다.

윤 장관도 "화재가 발생한 5층과 연계돼 복구에 어려움이 있는 시스템이 있다"며 "경우에 따라서는 공주센터에 소산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도 상정해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추석 명절 이후로 예정된 국정감사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전날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국감 자료 제출 요구와 관련해 정부 부처에서 시스템 장애로 자료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을 전했다.

윤 장관은 "국민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 다시 한번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현장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는 모든 관계자 분들과 함께 끝까지 책임있게 복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