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도 데이터센터도 레고처럼 '모듈'로…삼성전자·LG전자 '잰걸음'

삼성전자, LH와 'AI 홈 기반 모듈러 홈 설루션' 공략 LG전자, 플렉스 MOU…AIDC 모듈형 냉각 시스템 개발

2025-11-05     윤상호 기자
삼성전자는 3일부터 7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에 참가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기업(B2B) 공략을 강화했다. B2B는 개인(B2C)에 진입이 어렵지만 안정적 수익을 낼 수 있다. 삼성전자는 모듈러 주택 진출을 모색한다. LG전자는 냉난방공조(HVAC) 협력을 확대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B2B 사업을 늘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부터 7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건설·안전·인공지능(AI) 엑스포'에 참가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손을 잡았다.

삼성전자는 '모듈러 홈 설루션'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9월 독일 'IFA 2025'에서 모듈러 주택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모듈러 홈 설루션은 모듈러 건축에 최적화 한 AI 홈 설루션이다. 삼성전자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스마트싱스' 기반이다. ▲AI 가전 ▲IoT 기기 ▲HVAC ▲에너지 설루션 ▲환기 시스템 등을 연결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LH 전시장에 51제곱미터(㎡) 규모 모듈러 홈 설루션을 선보였다. ▲쉽고 편리함(Ease) ▲시간과 에너지 효율(Save) ▲나와 가족의 건강(Care) ▲강력한 보안과 안전(Secure)의 4개 핵심 가치에 초점을 맞췄다.

오주현 LH 공공주택본부장은 "모듈러 주택 시장을 선도하는 LH와 AI 가전 업계를 이끄는 삼성전자가 공동으로 이번 전시를 마련했다"며 "앞으로 미래 주거 환경인 모듈러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혜순 삼성전자 디지털어플라이언스(DA)사업부 부사장은 "스마트 모듈러 홈 설루션을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혁신을 제공하고 차세대 주거 환경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LG전자는 AI 데이터센터(DC) 공략을 다각화했다. 플렉스와 '모듈형 냉각 설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플렉스는 전자제품위탁생산(EMS) 분야가 주력이다. DC 인프라 사업을 확대 중이다. DC 구성 요소를 모듈화 해 구축 비용과 속도를 줄일 방침이다. LG전자는 ▲칠러 ▲냉각수분배장치(CDU) ▲컴퓨터룸 공기 처리 장치(CRAH) 등을 모듈화해 공급할 계획이다. 냉각 시설 구축과 확장 용이성 확보가 목표다.

마이클 하퉁 플렉스 최고상업책임자(CCO)는 "LG전자와 협력해 DC 열 문제를 해결하는 최적의 냉각 설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성 LG전자 에코설루션(ES)사업본부장은 "플렉스와의 협업은 단순한 파트너십을 넘어 고객에게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AIDC 시장에서 LG전자의 입지를 강화하는 전략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