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자산·AI 힘주는 하나금융...전담 조직 꾸리며 '금융 대전환' 추진
'디지털자산TF·AI 거버넌스' 신설
하나금융그룹 디지털자산과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금융의 대전환을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우선 디지털자산의 제도권 편입 및 시장 확대에 발맞춰 지주 산하에 디지털자산 전담 조직(TF)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은행, 카드, 증권 등 관계사 간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디지털자산 관련 법제화에 맞춰 상품·서비스·인프라를 신속히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현물 ETF, 토큰증권(STO) 등 디지털자산 시장의 주요 축을 중심으로 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금융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금융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테이블코인 부문에서는 금융기관의 안전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발행 및 준비금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유통망(사용처) 확보와 보안 체계 고도화를 추진한다. 더불어 AI 기술을 접목해 통화·외환 정책과의 연계, 보안 강화 등 기술·산업·정책 전반에 걸친 협력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하나금융은 이미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사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발행·유통·관리 관련 PoC(개념검증) 및 공동 연구를 진행해 오며 기술 역량을 축적해왔다. 이 과정에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삼아 그룹의 보안 인프라와 기술력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AI 중심의 금융 인프라 혁신도 강화한다. AI를 생산적 금융의 핵심 영역으로 설정해 선도적으로 AI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하나금융은 금융그룹 중 유일하게 독자적 AI 연구 조직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을 운영하고 있다. 또 외환, 자산관리, 기업금융 등 그룹의 핵심 강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하나금융만의 경쟁력 있는 디지털자산 사업 모델을 신속히 구현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디지털자산은 향후 금융 시장에서 자본시장과 결제 인프라의 혁신을 이끌 핵심 영역으로 그룹 차원의 대응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 AI를 기반으로 한 금융 인프라 혁신을 통해 손님 맞춤형 서비스, 리스크 관리, 내부 운영 전반의 효율을 높이는 등 디지털 자산과 AI의 두 축을 기반으로 디지털 주도의 금융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