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영 뤼튼 대표, 국회 미래교육포럼 참석...'K-AI 리터러시 교육 추진해야'
뤼튼테크놀로지스는 11일 조인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개최한 국회 'K-AI 리터러시 미래교육포럼'에 이세영 대표가 참석해 한국 AI 리터러시 교육의 단계별 발전 방향과 비전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한국 AI 리터러시 교육의 현 상황을 진단하고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우리 사회 AI 리터러시 역량을 끌어올릴 교육 모델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현장에는 유재연 한양대 교수 겸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사회분과장이 발제자로 참석해 '한국 AI 리터러시 교육의 현주소와 과제'를 주제로 국내 교육 현장에서 드러난 AI 리터러시의 한계와 당면 과제를 진단했다.
유 교수는 먼저 "OECD 평균 대비 한국의 AI 리터러시 지표는 27%나 낮고 AI 교육 관련 교사 연수 이수율은 12%에 그치는 반면 AI 교육 수도권 집중도는 74%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AI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되 비판적 사고력을 유지하는 균형 잡힌 교육 방향성이 필요하다"며 "AI 리터러시 국가 표준을 수립하고 교사 연수를 확대하는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액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두번째 세션을 맡은 이세영 뤼튼 대표는 "2000년대 초 정부의 선제적 정보화 정책이 대한민국을 IT 강국으로 이끈 성공적 분기점이었다"며 "AI 격변기는 또 한번의 국가 도약을 가능하게 할 새로운 골든타임"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민관이 함께 힘을 모아 전 국민 AI 리터러시 교육을 함께 기획, 추진할 것을 제안드린다"며 "그 과정에서 AI 분야 선도 기업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전국 교육청 관계자와 초중고 교사, 청소년 재단 관계자들의 토론도 진행됐다. 육하윤 경북교육청 장학관은 "AI 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기 사업 중심의 예산 운영에서 벗어나 장기적 관점의 투자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며 "교원 전문성 강화를 위한 상시 연수 체계와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공형 AI 플랫폼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조인철 의원은 "AI 기술·서비스는 지능 집약적 분야에서 활용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그것의 격차 해소와 선용을 고민하지 않으면 누군가는 평생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허덕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AI시대로 빠르게 진입한 지금 학교·직업 현장을 막론하고 모두의 AI 리터러시가 중요한 만큼 민간의 혁신적 사고와 공공의 견고한 제도적 지원이 유기적 합을 이뤄낼 수 있도록 잘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