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25] 팬덤의 선한 영향력 알린 '플레이 펀앤굿 포럼'...착한게임 로드나인에 '주목'
국내 대표 게임사 스마일게이트 산하 희망스튜디오가 주도하는 '플레이 펀앤굿 포럼'이 지스타 2025 현장에서 국내 지식재산권(IP) 팬덤의 선한 영향력을 알려 주목된다. 팬이 단순한 소비자를 넘어 새로운 가치창출의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정덕현 문화평론가는 14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플레이 펀앤굿 포럼'에 참석해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예로 들며 "한국의 케이팝이 단기간에 전세계에서 주목 받는 트렌드로 성장할 줄 몰랐다"며 "지금의 케이팝 팬덤은 주류 사회에 진입했지만, 시작점은 비주류가 일반적이었다. 비주류라는 이들이 몰리고, 이들이 뭉쳐서, 자신들을 대변하는 존재로 '케이팝'에 결집한 것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있는 그대로 자신을 사랑하라, 러브 유어셀프라는 가치관을 공유했기에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더한 케이팝 팬덤이 강력해질 수 있었다"며 "이는 가치 공동체로 진화한 BTS 팬덤 아미 역시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BTS 팬덤 기반에 문화 다양성이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인종차별 금지 등의 구호가 전세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어 정 평론가는 "팬덤문화의 변화는 팬트리뷰션으로 진화, 팬과 기여가 더해지며 선한 영향력이 확산하고 있다"며 "임영웅 영웅시대의 산불피해 및 수해복구 지원 등 케이팝 팬덤의 기부 누적액은 100억원을 돌파했고 에스파 윈터 팬클럽의 윈터숲 조성 등 선한 덕질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국내 대표 MMORPG '로드나인의 퍼블리싱을 담당한 한재영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이사는 "게임의 서사나 환경이 타인의 어려움에 공감하게 만들 수 있고, 커뮤니티의 특성상 대규모 집단행동을 이끌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면서 "라이엇게임즈의 문화재 환수, 로스트아크 유저들의 공동기부 활동 등이 대표적 사례"라고 소개했다.
이어 한 이사는 "로드나인 역시 500일간 사회공헌 여정이 이어지고 있고, 구체적으로 이용자 로열티 바탕의 참여형 인게임 기부 이벤트, 타 제휴사와 함께 기부 상품 판매액에 따라 양사 공동 기부, 자체 행사 수익금 전액 기부 등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로드나인 팬들은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와 함께 우리 문화유산 수호자 모집 캠페인을 진행,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 약 3000만원 상당의 기부를 진행하기도 했다. 또 취약계층 아동 기부 캠페인을 진행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날 권연주 희망스튜디오 이사는 "이번 포럼은 게임과 콘텐츠, 스타를 단순한 소비의 대상으로 보는 시각을 넘어, 함께 성장하고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가는 팬덤 문화를 조명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며 "희망스튜디오는 앞으로도 팬덤이 즐겁고 보람 있게 사회 공헌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스마일게이트의 희망스튜디오는 사회문제와 대중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서 팬트리뷰션이 게임 생태계에 긍정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조력해 왔다. 대표적으로 비타콘과 함께 진행한 스타 참여형 기부 챌린지 '러브온탑' FUNding 캠페인이 있다. 지난 3월 진행된 해당 FUNding에는 강다니엘, 정동원 등 총 10명의 스타가 참여해 영케어러를 지원하는 기부 챌린지를 펼쳤으며, 팬덤의 활발한 기부로 목표 대비 416%의 기부금이 조성됐다. 또한 희망스튜디오 플랫폼을 통해 유저들이 해당 FUNding을 조회한 횟수는 191만 회에 달했다.
부산=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