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TV 안보는 시대, 홈쇼핑이 모바일로 옮겨온다
최근 '모바일 TV 홈쇼핑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사태로 인해 전세계 곳곳에서 이동제한 조치와 지역 봉쇄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없게 되면서, 온라인 쇼핑 이용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쇼핑 방법은 아마존과 쿠팡 같은 단순한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일부 젊은 소비자 층에서 TV홈쇼핑처럼 상품의 특장점을 소개하는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하며 쇼핑을 할 수 있는 모바일 비디오 쇼핑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마존과 구글도 최근 이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지난 15일, 아마존 라이브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아마존 라이브는 소셜미디어와 SNS에서 영향력이 큰 인플루언서가 아마존 사이트에 추천 상품 영상을 게재하고, 이를 자신의 SNS와 연계해 판매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구글의 '솝루프'는 모바일 홈쇼핑 앱으로, 상품 광고채널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앱입니다. 이 뿐만 아니라 유튜브의 '브랜드커넥트', 페이스북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스' 등 인플루언서와 라이브 방송을 활용한 시장이 커져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사실 이 시장에서 가장 앞서 있는 국가는 중국입니다. 중국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자가 미국을 추월한 후부터 훨씬 더 큰 시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알리바바그룹은 2016년부터 '타오바오 라이브'로 모바일 홈쇼핑 서비스를 시작했고, 2018년 '콰이소우'와 틱톡의 중국 버전인 '도우인'도 이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중국의 경우 타오바오 라이브가 전체 시장의 79%를 차지할 만큼 독주하고 있습니다. 타오바오 라이브는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결제 플랫폼인 '알리페이'와 통합돼 있어 그 영향력이 엄청납니다. 동영상을 보다가 마음에 들면 해당 플랫폼을 떠나지 않고 손쉽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모바일 홈쇼핑이라는 트렌드가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