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동력 'B2B'서 성과낸 KT, 2분기 영업이익 전년보다 18.6% 늘었다 (상보)
KT는 2020년 2분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기준 매출 5조8765억원, 영업이익 3418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무선과 미디어 사업이 성장하고 AI/DX 기반으로 B2B 사업이 호조를 보이며 지난해 2분기와 비슷한 서비스 수익을 기록했다. 다만 코로나19 영향으로 단말 수익이 줄고 카드/호텔 등 일부 그룹사 매출이 감소하면서 전체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6% 줄었다. 하지만 효율적 비용 집행 등 수익성 강화 노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다.
B2B 매출 확대, 무선-IPTV도 성장세 유지
특히 KT는 핵심 신성장 사업인 B2B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냈다. KT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사업자로 인프라와 기술역량을 플랫폼으로 활용해 디지털 전환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KT 별도 기준 B2B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기업들의 수요 증가로 클라우드/데이터센터 매출이 성장하고, 지역화폐 발행량 증가에 따른 블록체인 매출이 성장하면서 AI/DX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상승하며 KT 주요 사업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본업인 통신사업도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무선사업 매출은 5G 가입자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0.6% 늘었다.
2분기 기준 5G 누적 가입자는 224만명이다. 2분기 5G 신규 가입자의 60% 이상이 영상/음악/VR 등 다양한 콘텐츠 혜택이 요금제에 포함된 '슈퍼플랜 Plus 요금제'를 선택했다. 초고속인터넷과 유선전화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1.2%, 7.0% 감소했다.
IPTV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0.5% 증가했다. 2분기 IPTV는 신규 가입자는 13만7000명으로 지난 1분기보다 2배 가량 늘었다. 누적 가입자 856만명이다. 동영상 플랫폼 '시즌(Seezn)'도 아이돌과 오리지널 콘텐츠라는 특화된 콘셉트를 앞세워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BC카드-부동산 등 그룹사 실적은 코로나 여파로 '저조'
그룹사 실적은 코로나 이슈로 저조했다. BC카드 매출은 해외 카드 매입액이 줄면서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했다. 부동산 매출도 호텔 이용객이 줄어 전년 동기 대비 7.9% 감소했다. 콘텐츠 사업 매출은 T커머스 사업 호조에도 광고 매출 감소로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스카이라이프는 위성 전용 고가상품 가입자가 늘면서 전년 동기보다 매출이 2% 증가했다.
KT는 다각도로 추진한 경영 활동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면서 성장역량 강화에 더욱 집중 할 예정이다. 케이뱅크는 최근 4000억원 규모의 유상 증자를 마무리하고 비대면 아파트 담보 대출을 곧 개시할 예정이다. 지난 6월에는 국내 로봇 분야 1위 사업자인 현대 로보틱스와 500억원 규모의 전략적 지분 투자 계약을 맺으며 지능형 서비스 로봇과 스마트팩토리 시장 적극 공략을 선언했다.
유료방송 1위 사업자로서 미디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케이블TV 사업자인 현대HCN 인수를 추진하고, 넷플릭스와 제휴를 맺었다.
윤경근 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코로나19 장기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무선, 미디어, B2B 등 핵심 사업에서 성장하고 효율적인 경영 활동으로 수익성 강화에 집중해 두 자릿수 영업이익 증가율을 달성했다"며 "앞으로 5G, B2B를 중심으로 장기적으로 지속 성장 가능한 체질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사회적으로 KT의 네트워크 서비스와 디지털 역량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