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바이든 '2030년 美 신차 절반 친환경' 빅3와 초대받지 못한 테슬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30년부터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형 자동차의 절반 이상을 친환경차로 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기존 내연기관이 주를 이뤘던 자동차 시장을 전기 배터리와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등 친환경자동차(ZEV) 재편하겠다는 것입니다.
현지시간 5일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이같은 계획을 알리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외신들은 이번 계획을 기후변화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핵심 대처 방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번 계획을 위해 바이든 대통령은 트럭을 포함한 대부분의 자동차에 대해 온실가스 감축 기준과 연비 요건을 현재 정부가 마련 중이라고도 전했습니다. 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전기 배터리와 연료전지 등에서도 특히나 전기차를 강조하며 "미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전기차다. 되돌릴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미국에는 공공 전기차 충전소가 약 4만1000곳 밖에 없습니다. 이에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 충전소 50만개 설치를 위한 150억달러(약 17조15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의회에 요청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이날 행사장에는 '디트로이트 빅3' 대표들이 참석해 바이든 대통령의 뜻에 함께했습니다. 디트로이트3는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업체 3곳을 의미하는 단어로, 제너럴 모터스와 포드, 크라이슬러 등 세개 기업이 해당됩니다. 제너럴모터스는 2035년까지는 전기차를 생산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피아트클라이슬러 및 프랑스 푸조의 합병 회사 '스탠란티스'와 포드는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은 4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이날 테슬라는 초대받지 못했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가 초대받지 못하다니 이상하다"는 글을 게시하며 아쉬운 감정을 나타냈습니다.
2030년에는 정말 신차 생산량 절반 이상이 친환경 자동차일지, 또 바이든 대통령이 기후변화를 위해 이후 어떠한 행보를 보일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