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디지털전환 시장 자신감...'DTaaS' 플랫폼으로 키운다
삼성SDS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aaS)' 방법론을 앞세워 기업별로 최적화된 디지털 혁신 지원에 나선다.
황성우 삼성SDS 대표는 8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리얼(REAL) 2021' 행사에서 "DTaaS는 삼성SDS의 입체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방법론을 상징한다"며 "프레임워크를 넘어 플랫폼 수준이 될 때까지 계속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삼성SD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DT를 실현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DT 큐브'를 소개했다. DT 큐브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맞춤형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솔루션, DT 실행을 위한 서비스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요소들을 입체적으로 구성한 방법론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어렵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모든 기업들의 시급한 '생존과제'가 됐다. 많은 기업들이 서둘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준비에 나서고 있지만, 모호한 개념과 정의 탓에 현장에선 혼선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전 세계 7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성공한 기업은 30%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천문학적인 비용만 쓰고 효과를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석립 삼성SDS IT혁신사업부장(부사장)은 "수많은 기관과 기업들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작에 앞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 지 답답하고 막막한 게 현실"이라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초기 단계에서 치밀하게 준비해야 최종단계에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강 부사장은 기업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실패하는 이유에 대해 ▲경영진의 조급증 ▲기존 시스템 및 조직문화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체계의 융합 부족 ▲불분명한 비전과 목표 ▲업종별, 기업별 상황에 따른 구체적인 플랜 부재 등을 꼽았다.
그는 "국내외 수많은 기업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해 본 결과 성공을 위해 중요한 건 좌표 인식과 목표 수립"이라며 "목표 달성을 위한 최적의 경로 설정과 신기술 및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실행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부터 Z까지…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해답'을 제시한다
삼성SDS는 기업들의 현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수준을 파악하는 'DT 수준진단' 시스템과 삼성그룹의 베스트 프랙티스를 활용한 업종별 특화 프로세스 설계, 애자일 기반의 이행계획 추진 등을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DT 실행엔진'을 활용해 업종별로 최적화된 다양한 IT 기술과 솔루션 전문역량을 제공한다.
강 부사장은 "글로벌 기업과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과 고객 맞춤형 통합 기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실행에 강한 삼성SDS와 함께 하면 지수함수적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SDS의 사내 전문가들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단순한 신기술 도입 수준을 넘어 조직의 일하는 방식과 문화까지 종합적으로 변화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박정미 삼성SDS 대외AM팀 상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선 현 수준을 정확히 인식하고 그에 기반해 적합한 조직들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80%의 조직 구성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제고와 15~20%의 실제 프로젝트 수행 인력 양성, 전문지식을 가진 1%의 전문인력으로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현 삼성SDS CX혁신팀 상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실패하는 원인은 신기술로의 전환만으로 이해하고 사람에 대한 이해 없이 첨단기술에만 집중했기 때문"이라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사람들의 인식과 업무처리 방식, 습관이 변화해야 완성된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김가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