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매맞는 카카오...추가 상생안 두고 '고심'

2021-09-27     이수호 기자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캐리커쳐=디미닛

 

내달 1일부터 시작되는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카카오를 향한 정치권의 공세가 연일 더해지고 있어 주목된다. 관련업계에선 전방위적인 규제 칼날이 이어지고 있어, 카카오의 추가 상생안이 나올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발표한 상생방안과 별도로 추가 상생안 마련을 두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 내부사정에 정통한 업계 한 관계자는 "카카오가 3000억원의 규모의 상생기금 사용처 공개와 함께 콘텐츠 분야의 상생방안 추가 발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 역시 "핵심 골목상권 업종에 대한 철수 여부 미발표로 시장 우려 잠식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카카오가 소상공인 관련업종의 추가 철수 또는 구체적 상생안을 고심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 14일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의 이름을 내걸고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으로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 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골목 상권 논란 사업 등 이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들에 대해서는 계열사 정리 및 철수를 검토하는 한편, 여론의 뭇매를 맞은 카카오모빌리티가 선제적으로 스마트호출 서비스를 전면 폐지하고 택시 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요금을 월 3만9000원으로 인하하기로 했다. 또한 기업 고객 대상 꽃·간식·샐러드 배달 중개 서비스를 철수했다.

그러나 대선을 앞두고 여전히 IT 업계를 향한 정치권의 공세는 이어지는 양상이다. 국회 정무위와 환노위는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이진수 대표 역시 문체위 국감에 소환됐다. 국회가 전방위로 나서 카카오의 독점, 불공정, 골목상권 침해를 규탄하겠다는 의지다. 결국 카카오가 추가 당근을 내놔야 여론이 진정될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업공개(IPO) 역시 잠시 미뤄둔 상황이다. 

정호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규제 리스크는 단시일내 종료되지는 않을 것이며 최소 국감 일정이 종료되는 10월까지는 인터넷 섹터를 짓누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