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마켓 닫은 25개 가상자산 거래소, 살아남긴 했지만...거래량은 '참혹'

2021-09-27     이성우 기자
그래픽=디미닛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에 따라 코인마켓으로 전환한 25개 가상자산 거래소의 거래량이 급감해 생존의 기로에 섰다.

27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정보보호관리체계(ISMS)를 획득한 29개 가상자산 거래소가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를 접수했다. 하지만 실명계좌를 확보하지 못한 25개 거래소는 원화마켓을 포기하고 사업성이 떨어지는 코인마켓으로 전환해 신고했다. 

국내 투자자들의 대부분이 원화로 가상자산을 매매해, 원화마켓이 없는 거래소의 거래량이 급감한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업계는 코인마켓을 운영하는 거래소들이 장기간 운영을 이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거래량 급감한 코인마켓 거래소

특금법에 따라 은행 실명계좌를 확보하지 못한 25개 거래소가 모두 코인마켓으로 전환했다. 업계의 예상대로 코인마켓으로 전환한 대부분의 거래소가 거래량이 급감했다.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대부분이 원화로 가상자산을 매매하기 때문이다.

원래 코인마켓을 운영했던 '한빗코'나 스테이블코인인 USDT 거래를 지원했던 후오비코리아, 이용자 수가 많았던 고팍스 정도만 코인마켓 전환 이후에도 거래량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물론 원화마켓을 운영할 당시의 거래량에는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다. 

텐앤텐 거래량 / 사진=텐앤텐 홈페이지

이밖에 ▲텐앤텐 ▲지닥 ▲프로비트 ▲코어닥스 ▲프라뱅 ▲오케이비트 등의 대부분의 코인마켓 거래소는 거래량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코어닥스는 코인마켓으로 전환한 이후 매출이 100분의1로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몇몇 거래소는 거래량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어느정도 거래량이 있는 코인마켓 거래소는 '거래왕 이벤트', '수수료 무료 이벤트' 등으로 투자자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코인마켓을 운영하는 거래소의 한 관계자는 "코인마켓을 운영하는 거래소들은 아마 코인마켓 수수료를 가지고 거래소를 운영하기는 힘들 것"이라며 "다들 버티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코인마켓 관련 이벤트를 하고 있다"며 "돈을 써서라도 거래대금을 어느정도 유지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미 덩치가 커진 거래소들..."코인마켓만으론 유지 어렵다"

가상자산 업계는 이미 덩치가 커진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코인마켓 운영만으로는 거래소 운영을 이어가지 못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부분의 거래소는 ISMS 인증 확보와 자금세탁방지(AML) 시스템 구축, 실명계좌 확보를 위해 상당한 금액을 지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구축된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돈과 인력이 필요한데, 코인마켓 수수료로는 감당이 안된다는 것이다.

ISMS / 사진=한국인터넷진흥원

한 거래소 관계자는 "가상자산 거래소는 이미 덩치가 커진 상태"라며 "서버비, 준법팀 유지비, ISMS 유지비, AML 시스템 유지비 등 다 돈이 든다"고 말했다. 모아둔 돈을 쓰면서 거래소를 유지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코인마켓으로 전환한 이후 기존에 있던 가상자산을 재상장해야 해서  거래 가능한 가상자산 수도 3분의1 수준으로 줄었다"며 "거래량이 대폭 줄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그는 ISMS 획득에 최소 10억원이 필요하고, 유지하는데 매년 1억원의 비용이 든다고 설명했다.

김형중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기존 관성이 있어 한 두개 거래소는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굉장히 힘들고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코인빗, 텐앤텐, 코어닥스 등 거래량이 거의 제로"라며 "그 거래소에 있는 김치코인들을 살리기 위해선 원화로 USDT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해 거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소한의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