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만에 국민 앞에 서는 카카오 김범수...추가 상생안에 쏠리는 눈

2021-10-05     이수호 기자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그래픽=테크M

 

골목상권 공략 등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아온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5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다. 최근 집중포화를 맞고 있는 플랫폼 독과점 문제에 대해 직접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보여, 추가 상생안 발표 가능성도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5일 국회 등에 따르면 이날 카카오 측은 김 의장의 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국감 증인 참석 의사를 최종 전달했다. 김 의장은 지난 2018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 처음 출석해 포털 뉴스 편집 논란 및 가짜뉴스 유통 대책 등에 대한 질의에 답한 바 있다.

김 의장은 이번 국감에서 플랫폼 기업의 독점적 시장 구조와 인수·합병(M&A)를 통한 문어발식 사업확장, 계열사 신고 누락, 높은 수수료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 의장의 가족회사로 알려진 케이큐브홀딩스의 금산분리 위반 및 자료제출 누락 문제가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이로써 김 의장은 국내 주요 플랫폼 창업주 중 첫 타자로 올해 국감에 서게 됐다. 국감 증인은 건강상의 이유나 해외출장 등의 이유가 있을 경우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고 참석하지 않거나 대리출석할 수도 있다. 김 의장도 지난 2017년에는 해외출장을 이유로 참석하지 않았다.

그러나 올해 국감의 경우 최근 카카오를 중심으로 플랫폼 기업의 거대화 및 독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된 상황이라 책임경영의 차원에서 직접 국감장에 서는 정공법을 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이날 카카오는 최근 발표한 상생방안과 별도로 추가 상생안 마련을 두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헤어샵 등 O2O 서비스의 추가 철수 가능성도 제기된다. 카카오 내부사정에 정통한 업계 한 관계자는 "카카오가 3000억원의 규모의 상생기금 사용처 공개와 함께 콘텐츠 분야의 상생방안 추가 발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이진수 대표 역시 문체위 국감에 소환, 콘텐츠 작가들의 처우개선을 약속한 바 있다. 결국 카카오가 추가 당근을 내놔야 여론이 진정될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업공개(IPO) 역시 잠시 미뤄둔 상황이다. 

정호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규제 리스크는 단시일내 종료되지는 않을 것이며 최소 국감 일정이 종료되는 10월까지는 인터넷 섹터를 짓누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 역시 "핵심 골목상권 업종에 대한 철수 여부 미발표로 시장 우려 잠식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카카오가 소상공인 관련업종의 추가 철수 또는 구체적 상생안을 고심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는 지난달 14일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의 이름을 내걸고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으로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 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골목 상권 논란 사업 등 이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들에 대해서는 계열사 정리 및 철수를 검토하는 한편, 여론의 뭇매를 맞은 카카오모빌리티가 선제적으로 스마트호출 서비스를 전면 폐지하고 택시 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요금을 월 3만9000원으로 인하하기로 했다. 또한 기업 고객 대상 꽃·간식·샐러드 배달 중개 서비스를 철수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