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2021] 야놀자 수수료 문제 도마위...배보찬 대표 '사회적 책임 다할 것'
배보찬 야놀자 대표는 플랫폼 수수료와 숙박업 과도한 확장 관련 문제제기에 관해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서 시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한 2021년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이날 배보찬 야놀자 대표는 증인으로 출석, 플랫폼 데이터 관리와 숙박업 확장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 받았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야놀자 유니콘(기업가치 1조인 스타트업)의 10배인 데카콘이 됐다"며 "야놀자는 직영이나 프랜차이즈로 약 250개 관계사 운영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야놀자 임직원들과 관계사들이 모텔을 인수해서 중개 만이 아니라 직접 운영하고 있다"며 "이수진 야놀자 총괄 대표가 모텔을 인수해서 운영하고 있다. 야놀자 계열사가 운영하다가 초기 창업 멤버에게 운영권을 넘긴 경우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홍천에 이수진 총괄 대표께서 대형 펜션 14개 신축한 것고 있는데, 그것도 야놀자를 통해 예약을 받고 있다"며 "중개 플랫폼은 이용자 데이터를 다 갖고 있는데, 이를 이용해서 직접 운영 사업까지 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 사회적 책임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문제제기를 했다.
이에 배보찬 대표는 "사업을 시작할 때는 그 부분까지 깊게 생각하지 못하고, 이 산업을 혁신하겠다는 목표로 시작했다"며 "2019년 까지만 가맹 사업을 했다. 앞으로 신규 가맹점은 받지 않고 (사회적 책임) 고려해서 시정하겠다"고 해명했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15년간 운영하면서 플랫폼에 이용자 숙박업체 정보를 갖고 있다"며 "숙박업소에서 플랫폼에 광고하는 대가로 받는 수입이 있을 것이다"고 했다. 이어 " 데이터도 그렇고 광고비 수익도 그렇고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문젠데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입점업체 대표를 만나서 대화해야 하는거 아니냐"며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배 대표는 "계약서상 광고비용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있다"면서도 "쿠폰 관련된 상품이 다양하고, 그 부분 관련해선 제휴 점주와 대화 통해서 상품에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만나 대화하려는 노력도 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