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초격차' 행보, NHN 웹젠 엠게임도 위믹스 손 잡는 이유는?
위메이드가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서 '초격차' 행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미르4'로 블록체인 게임 성공사례를 써내려간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에 연이어 주요 게임사들이 파트너로 합류하면서 단단한 연합군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것.
고스톱-포커류게임의 명가 '한게임'의 NHN을 시작으로 '뮤' 지식재산권(IP)으로 '게임한류'를 일으킨 선봉장인 웹젠과 '열혈강호 온라인' '나이트 온라인' 등 장수 MMORPG를 보유한 엠게임 등 소위 1세대 게임 개발사들이 줄줄이 위메이드와 손잡고 블록체인 게임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증유'의 성공사례로 손꼽히는 '미르4'를 운영하며 쌓은 위메이드의 노하우에 주목하고 있다. 탄탄한 게임 내 가상자산 경제 시스템을 운영하는 노하우가 상당하다는 것. 아울러 국내외 여러 가상자산 거래소에 가상자산 위믹스를 안정적으로 상장해뒀다는 점도 다른 게임사들보다 경쟁 우위에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게임 품은 위믹스, '뮤' '열혈강호'도 품었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위메이드는 NHN과 웹젠, 엠게임 등 소위 '네임드' 게임업체들과 잇따라 위믹스 플랫폼 입점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우선 지난 10월 위메이드는 NHN과 블록체인 사업 협력을 위한 제휴를 체결했다. NHN이 보유하고 있는 게임과 콘텐츠를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에서 서비스하기로 하 것. 주요 협업 내용으로는 ▲위믹스 플랫폼 내 게임 및 콘텐츠 온보딩 및 서비스 사업제휴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입한 게임 개발 및 관련 기술 협력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업 및 서비스 등에 대한 전략적 협력 등이 포함됐다.
특히 업계는 한게임을 보유한 NHN이 고스톱, 포커류 게임들을 위믹스 플랫폼을 통해 선보일 것이란 예측을 내놓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 소셜카지노라는 장르가 주요 게임장르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만큼, 블록체인 플랫폼과 결합하면 파괴력이 상당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는 것.
아울러 위메이드는 최근 웹젠, 엠게임과 연속적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회사 역시 자사 대표 게임들을 위믹스 플랫폼을 통해 선보이기로 한 것. 웹젠이 보유하고 있는 '뮤'나 'R2' IP, 엠게임이 보유한 '열혈강호', '나이트 온라인', '귀혼' 등의 IP를 활용한 게임이 위믹스 플랫폼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으로 거듭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위메이드와 웹젠, 엠게임 등은 모두 '게임 한류' 1세대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주목된다. 위메이드의 '미르의전설' 웹젠의 '뮤', 엠게임의 '열혈강호 온라인' 등은 모두 2000년대 초반 중국시장을 강타한 공전의 히트작들이다.
경쟁사 압도하는 위메이드의 경쟁력은? '미증유의 성공' 미르4 노하우
이처럼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위메이드의 손을 잡는 이유는 이미 시장에서 큰 성공을 이끌어낸 '미르4' 덕분인 것으로 분석된다.
카카오게임즈의 '보라'나 컴투스그룹의 'C2X' 등도 위믹스 플랫폼과 비슷한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을 표방하고 있지만, 아직 초기 준비단계다.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서 성공한 게임을 보유한 게임사는 아직 위메이드가 유일하다.
특히 블록체인 게임은 게임 내 재화와 가상자산 간의 시세 변동 등이 심하기 때문에 경제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미르4'를 서비스하는 위메이드도 출시 6개월이 다가오는 지금까지도 게임 내 재화인 '흑철'과 게임토큰 '드레이코', 기축통화 '위믹스'까지 3개 디지털자산이 게임 내외부에서 원활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차례 업데이트를 단행하고 있다. 캐릭터 NFT 거래나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인 '스테이킹' 등을 선보이는 것도 경제시스템 구축의 일환이다.
게다가 가상자산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가상자산 거래소가 필수적이다. 위믹스의 경우 빗썸과 코인원, 코빗 등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는 물론 해외 거래소인 엘뱅크, 바이비트, 게이트아이오 등에서도 거래할 수 있다. 거래소 상장 절차도 까다롭기 때문에 아직 가상자산 발행도 하지 않은 다른 경쟁사들이 위믹스의 거래소 네트워크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모두 블록체인 게임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지만, 어느날 갑자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입하자고 해서 바로 도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가상자산 발행 이후 거래소 상장 절차도 복잡하다. 상장을 위해 블록체인 업계와 소통하기 위한 시간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블록체인 게임의 경제시스템은 대형 MMORPG 경제 시스템과 비슷한데, 가격 급등락이 훨씬 심하기 때문에 오랜 운영 노하우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미르4로 이미 수개월간 운영 노하우를 쌓은 위메이드를 단기간에 따라잡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