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S22'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할인 vs. 자급제 어디서 살까
오는 21일까지 사전판매…국내 공식 출시 25일 '갤럭시 S22' 공시지원금 최대 24만원...KT가 가장 높아 이번에도 '짠물' 지원금, 선택약정·자급제 구매 유리할 수도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통신3사가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S22' 시리즈 사전예약을 시작한 가운데, KT가 최대 24만원으로 가장 높은 공시지원금을 내걸었다. 통신사를 통해 스마트폰 구매할 경우 일정 기간 약정 시 스마트폰 제품 가격을 할인해주는 '공시지원금'을 받거나, 매달 본인이 선택한 통신 요금제의 25%를 할인받는 '선택약정할인제도'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다.
통신사 공시지원금 할인과 선택약정 할인, 자급제 중 어떤 혜택을 받는게 더 유리한지 꼼꼼히 따져봤다.
갤럭시 S22 공시지원금...KT 24만원>LG U+ 23만원>SKT 18만5000원
1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갤럭시 S22' 시리즈 공시지원금 규모는 현재 통신3사 중 KT가 최대 24만원으로 가장 크다. 소비자는 여기에 추가지원금(공시지원금의 15%) 할인혜택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 공개된 갤럭시 S22 시리즈 공시지원금 규모는 지난해 1월 출시된 갤럭시S21 시리즈의 절반 수준으로 '짠물 지원금' 수준에 그쳐 할인률이 크지 않은 편이다.
통신3사별 갤럭시 S22 공시지원금 규모는 구체적으로 SK텔레콤 ▲0틴5G(8만7000원) ▲5G 슬림(10만원) ▲5GX 레귤러(11만원) ▲5GX 레귤러 플러스(12만9000원) ▲5GX 프라임(15만원) ▲5GX 플래티넘(18만5000원)이다.
KT는 ▲슈퍼플랜 프리미엄 초이스(시즌/지니+)에 24만원 ▲슈퍼플랜 스페셜 초이스(시즌/지니+)에 20만1000원 ▲슈퍼플랜 스페셜에 18만3000원 ▲슈퍼플랜 베이직 초이스(시즌/지니+)에 15만원 ▲슈퍼플랜 베이직에 14만7000원 ▲5G 심플에 12만7000원 ▲5G 슬림에 10만원 ▲5G 틴에 8만6000원 ▲5G 세이브에 8만5000원 ▲5G 주니어에 6만9000원 ▲5G 주니어 슬림에 5만3000원으로 책정됐다.
LG유플러스는 ▲5G 라이트 청소년/시니어에 8만원 ▲5G 슬림+에 8만4000원 ▲5G 라이트+에 9만8000원 ▲5G 스탠다드에 13만3000원 ▲5G 프리미어 에센셜에 15만1000원 ▲5G 프리미어 레귤러에 16만8000원 ▲5G 프리미어 플러스에 18만6000원 ▲5G 프리미어 슈퍼에 20만4000원 ▲5G 시그니처에 23만원이다.
갤럭시 S22와 갤럭시 S22플러스(+)는 램 8GB, 내장 메모리 256GB로 출시됐다. 가격은 갤럭시 S22가 99만9900원, 갤럭시 S22+가 119만9000원이다. 갤럭시 S22 울트라는 12GB 램과 256GB 내장 메모리, 12GB 램과 512GB 내장 메모리를 탑재한 두 가지 세부 모델로 나온다. 가격은 각각 145만2000원, 155만1000원이다.
선택약정 할인 25% vs. 공시지원금 할인 뭐가 더 쌀까
삼성전자 '갤럭시 S22' 모델을 선택약정 25% 할인을 받고 구매하는 방법도 따져봤다. 지원금을 가장 많이 주는 KT기준으로 2년 약정,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조건으로 설정했다. 대부분 통신사에서 구매할 때 4개월에서 6개월은 고가 요금제를 쓰도록 강요하는 것을 감안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KT의 무제한 요금제인 '5G 슈퍼플랜 베이직 초이스' (9만원, 부가세 포함)에 6개월 유지 조건을 걸면 54만원이다. 여기서 6개월 이후 '5G 심플' (6만9000원, 부가세 포함) 요금제로 갈아탈 경우, 남은 18개월 동안 납부해야 하는 통신비는 124만2000원이다. 2년간 납부하는 총 통신비는 178만2000원 수준이다.
여기서 선택약정할인 25%를 받을 경우, 44만5500원이 할인돼 이용자가 약정 기간 동안 내야 하는 통신비는 133만6500원 수준이다. 여기에 기기값 99만9900원을 더하면 총 233만6400원이 이용자 부담이다. 즉, 이용자가 매달 내야하는 통신비는 약 9만7350원 수준이다. 여기에 휴대폰을 24개월 할부로 구입했기 때문에 연 5.9%의 할부이자까지 추가로 내야 한다.
월 6만원이상 무제한 5G 요금제를 사용한다면 단말기 공시지원금 대신 25%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것이 훨씬 유리해 보인다. 이밖에 가족할인이나 통신사와 제휴한 카드를 발급받을 경우 매월 추가 요금할인을 통해 조금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제휴카드 할인은 이통사와 제휴된 금융사의 카드를 발급받은 후 단말기를 할부로 구매하고, 통신비 자동이체를 설정할 경우 매월 요금할인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매월 카드 사용내역에 따라 통신비를 할인받을 수 있다.
할부 이자 없는 '자급제+알뜰폰'도 하나의 방법
자급제폰은 소비자가 기존에 자신이 사용하던 요금제 그대로 사용하거나, 원하는 요금제를 가입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다만 자급제 단말 구매 후 소비자가 직접 통신3사 서비스나 알뜰폰 서비스에 가입해야 한다는 점의 불편함은 따른다. 하지만 굳이 비싸면서 잘 터지지도 않는 5세대(5G) 요금제 대신 LTE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현재 갤럭시 S22 시리즈 자급제폰을 구매할 수 있는 쿠팡과 위메프 등 온라인 자급제 채널에서는 갤럭시 S22 시리즈 사전예약 시 최대 13% 카드할인, 24개월 무이자할부, 출시 당일 바로 받을 수 있는 로켓배송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우선 쿠팡에서 S22 시리즈를 사전예약하는 고객은 갤럭시 웨어러블 제품을 30% 할인된 금액에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이 발급된다. 사전예약 시 '삼성 케어 플러스 파손 보장형 1년권'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위메프는 오는 21일까지 '갤럭시 S22' 전 시리즈를 출고가 대비 최대 13% 할인한 가격으로 사전 예약 판매한다. 전 고객에게 8%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카드(국민삼성·농협·비씨·우리·하나·전북), 간편결제(카카오페이·페이코·토스·차이) 결제 시 5% 즉시 추가 할인이 가능하다. 사전 예약 둘째 날인 15일에는 라이브 방송 판매를 진행한다. 당일 14시부터 2시간 동안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백화점 상품권 1만원권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S22 시리즈는 이달 14∼21일 사전 예약 판매에 이어 이달 25일 정식 출시된다. 통신3사의 예고된 공시지원금은 변경될 수 있으며, 오는 22일 최종 확정된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