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구글, 러시아 하원 유튜브 채널 폐쇄...러시아는 강력 반발
유튜브가 러시아 연방의원 하원 '국가두마' 채널을 폐쇄했습니다. 이에 러시아 역시 자국민의 유튜브 접속 차단 등 강경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9일 외신에 따르면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의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구글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가해진 국제 제재 조치를 준수하고 있다"며 "이용 약관을 준수하지 않은 계정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가두마의 유튜브 채널은 구독자 약 14만명에 의회 내 토론, 러시아 의원을 인터뷰 영상을 게재해 왔습니다.
러시아 정부 기관과 의원들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러시아 정보통신감독청 로스콤나드조르는 "미국 정부가 러시아를 상대로 일으킨 정보전에서 미국 IT 기업 구글이 반 러시아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유튜브 채널 차단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한다"며 "국가두마 채널을 즉시 복구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또 마리아 자카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텔레그램을 통해 "유튜브가 파멸을 자초했다"며 "유튜브 이용자들은 모든 콘텐츠를 러시아 소셜미디어로 전송하라"고 말했습니다. 뱌체슬라프 볼로딘 러시아 하원 의장 역시 "미국이 정보 확산에 대한 독점권을 갖기를 원하지만, 우리는 허락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구글 및 유튜브의 러시아 제재는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달 2일 구글은 유럽에서 러시아 국영방송 러시아투데이(RT)와 뉴스 통신사 스푸트니크의 유튜브 채널을 차단했습니다. 이어 11일에는 해당 채널 차단 조치를 전세계로 확대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구글은 "유튜브 커뮤니티 지침은 폭력적 사태를 부정하거나 축소 및 경시하는 내용을 금지한다"며 "해당 정책을 위반한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관련 콘텐츠를 삭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IT 전문매체 엔가젯은 러시아 당국이 유튜브에도 강경 대응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러시아는 앞서 정보 통제 강화 정책을 근거로 메타의 소셜미디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접속을 차단한 바 있습니다.
과연 러시아 당국이 구글 및 유튜브에 어떠한 제재 조치를 취할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