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M 이슈]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른 '포털뉴스'...네이버뉴스의 구글화?
차기 정부가 포털뉴스의 편향성 논란을 또다시 제기하며 뉴스서비스 알고리즘을 손보겠다는 의지를 내비쳐 이목이 쏠린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직접 공론의 장으로 불리는 네이버-카카오 뉴스 서비스를 꼽아 개편의지를 밝힌 만큼, 향후 인터넷 플랫폼의 뉴스 이탈화가 현실화될 조짐이다.
네이버 메인뉴스 거는 'AI'부터 '제평위 심사'까지...정부가 들여다본다
2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서울 통의동 기자회견장에서 '포털 뉴스서비스의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을 내놓고,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비롯한 기존 인터넷 뉴스의 유통 구조를 재편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박성중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 간사는 "포털은 단순히 인터넷의 출입구 역할을 벗어나 언론사를 취사선택하고, 뉴스 배열 등 사실상의 편집권을 행사해 대한민국 여론 형성을 주도하고 있다"며 "언론 위의 언론으로 군림하는 막강한 권력이 된 만큼, 미디어 플랫폼의 투명성과 국민의 신뢰를 제고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포털이 확증편향과 가짜뉴스의 숙주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검증하고, 전문가 중심의 가칭 알고리즘 투명성위원회를 법적 기구로 포털 내부에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깜깜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 목에 방울을 달고, 제평위의 밀실 심사를 투명하게 바꾸겠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현 네이버뉴스 인링크 시스템을 없애고 아웃링크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현재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우, 인링크(콘텐츠 제휴/CP), 아웃링크(검색·스탠드 제휴)를 혼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주요 기사를 포털 내부에서 보는 인링크 방식으로 뉴스를 소비하고 있다. 이를 모두 아웃링크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이 경우, 네이버와 언론사가 나누는 수익모델을 넘어 언론사가 상당수 수익을 누릴 수 있게 된다. 문제는 트래픽도 언론사가 직접 모아야한다는 것이다.
박 간사는 "전면적 아웃링크 전환이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있는 만큼, 단계적인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를테면 국내 포털 시작화면이 구글처럼 단순 검색창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도 뉴스 싫어요...네이버-카카오판 '구글 뉴스' 현실화
차기 정부가 이처럼 강하게 인터넷 뉴스 유통시장 개선을 천명한 만큼, 후속 조치가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차기 정부는 여당과 야당을 오가면서도 줄기차게 현 뉴스 소비 구조에 문제를 제기해왔다. 핵심 타깃은 역시 네이버 뉴스다. 카카오의 경우, 포털 다음을 통해 유입되는 뉴스 소비량이 사실상 크지 않다.
사실 지난 2000년대 초반, 국내 양대 인터넷 포털은 뉴스를 통해 상당한 트래픽을 모아왔다. 특히 시장을 주도해온 네이버는 포털업계 '춘추전국시대'로 불리던 2000년대 초반부터 뉴스 콘텐츠로 재미를 봤다. 검색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개별 뉴스를 모아 별도의 콘텐츠로 재가공하거나, 표출방식을 다양화하며 타 포털과 차별화를 뒀다. 이 덕에 네이버는 '국민 포털'로 자리매김하는데 성공했다.
문제는 양사 모두 영향력이 강화되고 뉴스 편집을 통해 여론을 주도하자 정치권의 십자포화를 맞게 됐다는 점이다. 지난 2017년 대선 당시 댓글 조작으로 구속된 '드루킹' 사건이 대표적인 사례다. 정권을 놓친 당시의 야당, 현 차기 정부는 선거철마다 네이버의 정치중립성을 의심해왔고, 끊임없이 광범위한 규제를 도입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이때문에 네이버-카카오 모두 뉴스가 아닌 곳에서 트래픽을 모으며 뉴스 유통권 포기를 시사해왔다. 실제 네이버는 거듭된 경영진의 국정감사 소환 속에 최근 3년새 뉴스 중립화에 속도를 내왔다. 대표적으로 일방적 뉴스 배열을 중단, 소비자의 언론사 선택권을 보장하고 인공지능(AI)을 통한 뉴스 공급을 진행했다. 특히 뉴스 이용자가 추천을 원하지 않는 언론사 기사를 직접 제외할 수 있는 '숨김 서비스'를 비롯해 뉴스 이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기자 홈' 등을 꾸준히 내놨다.
여기에 최근 들어선 한국언론학회마져 연구보고서를 통해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사단법인으로 재출범시키거나, 협약체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으면서 제평위 권한까지 외부에 위임한 상태다. 이에 네이버는 향후 뉴스 유통 전권을 언론사와 여론에 위임하고 관련 콘텐츠를 통한 수익화를 사실상 포기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구글뉴스, 유튜브와 비슷한 추천 모델을 도입할 경우, 네이버-카카오 역시 논란에선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용자 성향에 따른 추천 시스템은 뉴스 편식 현상을 가속화할 가능성을 남겨두고 있다. 또 개별 언론사가 기사 클릭수를 높이기 위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제목 등으로 뉴스 콘텐츠의 질을 흐리는 행위에 나설 가능성도 적지 않아 이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