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일곱번째 행성 '천왕성' 베일 벗나...10년 안에 탐사 본격 시작한다
태양계 일곱번째 행성 천왕성에 대한 본격적인 탐사가 10년 안에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천왕성은 지구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밝혀진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은 행성입니다.
미국의 영향력 있는 과학자 단체 '국립 과학, 공학 및 의학원'(NAS)은 10년마다 행성 탐사의 과학적 목표와 미션을 제시하는 '행성과학 10년 계획'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NAS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천왕성 탐사를 최우선 순위로 삼을 것을 공식적으로 권고했습니다. 앞으로 화성만큼이나 천왕성의 소식을 자주 듣게 될 전망입니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이란성 쌍둥이 같은 존재입니다. 두 행성은 모두 얼음행성이자 수소, 헬륨, 메탄 등 대기 구성 물질이 비슷하고 크기도 비슷합니다. 둘 다 푸른빛을 띄는데, 이것은 메탄 때문입니다. 메탄이 붉은빛을 흡수하고 푸른빛을 반사합니다. 그러나 천왕성의 대기 연무 층이 두배 더 두터워 푸른빛이 희석되어 더 옅은 색을 띠고 있습니다.
탐사의 최우선 순위가 해왕성이 아닌 이유는 기술적 이유입니다. 태양에서 29억km 떨어진 천왕성의 탐사선은 현재 기술로도 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태양에서 45억km 떨어진 해왕성의 탐사선은 현재 미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중인 SLS처럼 더 큰 로켓이 필요합니다.
천왕성 탐사선은 궤도선과 대기 탐사선으로 구성됩니다. 궤도선은 천왕성을 공전하면서 자기장의 특성을 파악합니다. 또 천왕성의 위성 가운데 일부를 골라 정밀 조사도 진행합니다. 대기탐사선의 주된 임무는 천왕성의 강력한 바람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10년 계획 보고서 작성에 기여한 영국 레스터대학의 리 플레처 교수는 "목성처럼 큰 행성이나 지구나 금성과 같은 행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중간 크기의 행성에 대해서는 완전히 이해하고 있지는 못하다"면서 "천왕성에 대한 탐사가 이에 대한 답을 줄 것"이라고 했습니다.
태양계의 다른 행성과 비교해 천왕성의 가장 큰 미스테리는 기울어진 자전축입니다. 과학자들의 여러가지 추측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이유는 없습니다. 천왕성은 총 13개의 고리와 27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는데 일부가 얼음층 밑에 바다를 갖고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는 것도 우선 탐사 대상으로 선정된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베일에 쌓여진 천왕성의 미스테리가 하루 빨리 풀리기를 고대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