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C 22] 게임 웹 3.0의 핵심은 상호결합성...'연결에 주력하라'
넥슨이 게임 웹 3.0 시장 진출의 포문을 연 가운데, 개별 게임 P2E-NFT가 상호 결합성의 강점을 활용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이름만 블록체인을 내걸고, 모든 과정을 특정 회사가 관리하는 웹 2.0 방식으로는 성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얘기다.
8일 에이포원벤처스의 이응호 파트너는 NDC 2022 행사 세션을 통해 "NFT는 목적이 아니라, 그저 하나의 수단일 뿐이며 어떤 디지털 콘텐츠를 연결하고 어떻게 사업화를 하느냐에 따라 수많은 비즈니스 모델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NFT는 게임 웹 3.0 비즈니스는 상호결합성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특정 회사가 전체 생태계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가선 웹 3.0 내에서 가치를 키우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파트너는 게임 웹 3.0의 상호결합성 예로 솔라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들며 "상호결합성을 활용, 웹 3.0 게임길드 형성이 가능하며 특정 게임 내에서 특정 부동산이 NFT로 발행되면 NFT 마켓에서 이를 세일하고, 수익 공유가 가능한 서비스로 접목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각각의 개별 앱은 저마다의 수요층을 갖고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함께 연결돼 효용을 키우는 형태다.
또한 그는 "웹 3.0 길드원이나 파티원이 디지털 자산을 함께 공유, 지분에 따라 이익을 나누는 형태도 가능해질 것"이라며 "디파이 트렌잭션 에서도 상호 결합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상호 작용을 꾀하고, 이를 통해 수수료 최소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어 상호결합성을 놓쳐선 안된다"고 조언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앞으로 웹 3.0 시장이 활기를 띄면서 미래 협업이 가능한 서드파티들이 한 생태계 내에서 꾸준히 나올 것"이라며 "기존 웹 2.0 방식으로 개발해선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