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8월에 5G 중간요금제 내놓는다...가격-데이터 제공량 '관심'

2022-07-11     허준 편집장
(사진 왼쪽부터) 유영상 SK텔레콤 사장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구현모 KT 사장,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이 간담회를 시작하기 전에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허준 기자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통신3사가 오는 8월중으로 이른바 '5G 중간요금제'를 선보인다. 요금제 가격과 데이터 제공량이 어떻게 결정될지 관심이다. SK텔레콤은 월 5만9000원에 데이터 24GB를 제공하는 요금제를 당국에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KT와 LG유플러스는 아직 요금제를 설계중이다.


5G 중간요금제, 8월에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이종호 장관과 통신3사 CEO들의 간담회를 통해 통신3사가 모두 8월중으로 5G 중간요금제를 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창림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간담회 논의를 통해 정부와 통신3사는 5G 중간요금제 필요성에 모두 공감했고, 3사 모두 8월내에 관련 요금제를 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SK텔레콤은 5G 중간요금제를 과기정통부에 신고했다. 업계에서는 SK텔레콤이 월 5만9000원에 데이터 24GB를 제공하는 요금제를 신고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과기정통부는 측은 자세한 요금과 데이터 제공량에 대해 "사업자가 신고한 내용을 공식적으로 공개할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이 5G 중간요금제를 하나만 신고했는지, 여러개를 신고했는지에 대해서도 함구했다. 정창림 통신정책관은 "절차에 따라서 검토해서 신속히 진행해서 공개하겠다"고만 언급했다.

KT와 LG유플러스의 5G 중간요금제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날 간담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난 구현모 KT 대표와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는 구체적인 요금제 설계에 대해서 말을 아꼈다. 구 대표는 "구체적인 요금제 계획을 아직 보고 받지 못했다"고 했다. 황 사장 역시 "SK텔레콤의 요금제를 검토해본 뒤 요금제를 설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데이터 제공량에 관심...24GB로는 부족하다?

통신3사 모두 5G 중간요금제 출시를 공식화한 만큼, 관심은 가격과 데이터 제공량으로 향한다. 이날 언론을 통해 공개된 SK텔레콤의 5G 중간요금제 데이터 제공량은 24GB다. 5G 이용자 1인당 약 23GB에서 27GB 사이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데이터 제공량이 다소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관련해서 정창림 통신정책관은 "상위 5%의 헤비 트래픽 이용자들을 제외한 5G 이용자들의 평균 데이터 이용량은 14GB에서 21GB 정도"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아울러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다양한 라인업을 만들어 고객 편의성을 높이겠다"고 언급한 만큼 이 요금제 외에도 다른, 예컨대 데이터 제공량이 더 높은 5G 중간요금제가 나올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날 28㎓ 대역 5G 주파수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통신3사 CEO들과 논의했다. 정부와 통신3사는 28㎓ 대역을 B2B와 핫스팟 중심으로 먼저 활용하기로 하고 민관 합동 워킹그룹을 통해 추진방향을 검토하기로 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