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의원 '게임 공약은 표심 잡기용 쇼였나'...尹 정부 게임 홀대 비판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윤석열 정부의 게임 홀대를 작심 비판했다. 대선 전에는 게이머 표심을 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더니 당선 이후엔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
26일 조승래 의원은 성명문을 통해 "윤석열 정부의 게임 정책이 말 그대로 실종 상태"라며 "지난 21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첫 대통령 업무보고를 진행했는데, 당연히 포함돼야 할 게임 산업 진흥 정책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특히 조 의원은 "게임 산업은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 전체 수출액 중 69%의 비중을 차지하며 약 9조7000억원의 수출액을 달성하는 등 콘텐츠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요 핵심 산업"이라며 "그럼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업무보고 자료에서 한류 주요 성과를 적시하며 대중음악,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웹툰만을 구체적인 사례로 언급했다"고 말했다.
게임 산업을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도외시하겠다는 의지로밖에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또 조 의원은 대선 전후로 게임 산업을 대하는 태도가 다른 윤석령 대통령에게 약속을 지킬 것을 촉구했다. 그는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게이머가 우선'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게임 산업 진흥 등을 위한 여러 정책을 공약했으나 취임 이후 윤 대통령은 게임 분야에 대한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게임 공약들은 단순한 표심 잡기용 쇼였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조 의원은 윤 대통령이 후보 시절 한 게임 전문 매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게임 중독이 질병이라는 취지로 답변한 인터뷰가 공개됐던 것을 지적하며 이 사건 역시 단순 해프닝이 맞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게임 업계에 중국 판호 발급, 게임 질병 코드 도입, 플레이 투 언(P2E) 논란 등 다양한 현안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태도로 인해 게임 산업이 퇴보할 수 있다는 우려다.
마지막으로 조 의원은 "게임은 스토리, 영상, 기술들이 접목된 종합예술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신성장동력으로 게임을 빼고 K콘텐츠 육성을 논할 수 없다"며 "지금이라도 윤석열 정부가 게임 산업 육성 정책을 위한 구체적인 비전과 전략을 제시해 게임 공약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