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 디미닛
그래픽 = 디미닛

 

#올해는 코인 옥석가리기의 해

#업데이트 지속여부·토큰 바이백 업체 주목해야

#공공사업·대기업 제휴 여부도 지켜봐야 

 

지난 2018년부터 일던 가상자산(암호화폐, 코인) 투자붐이 어느덧 걷히고 투자자 다수가 '이 못믿을 시장'을 떠났다. 일부는 부동산으로, 또다른 이들은 주식시장으로 자리를 옮기며 텅 빈 가상자산 투자업계는 말 그대로 사기꾼의 온상으로 전락했다. 

그러나 여전히 이 시간에도 다가올 봄을 기다리며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진정성 있는 발행사도 적지 않다. 비록 시세는 고점대비 10분의1 이상 쪼그라들었지만, 좀 더 믿어볼 필요가 있는 가상자산 감별법 세가지를 테크M이 소개한다.


실서비스 기대감! 꾸준한 '업데이트'를 확인하자 


지난 2018년부터 너나할 것이 뛰어든 가상자산 투자유치(ICO) 열풍 이후, 약 2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간 대부분의 발행사들이 공개한 사업계획서(백서)를 살펴보면, 업체들이 목표로 두고 있는 사업 스케줄이 적시돼있다. 일반적으로 실서비스 구축 시기와 이용자풀 확보, 가상자산 유통계획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그러나 상당수는 이미 약속을 지키지 못한 상태로, 이에 대한 해명이나 목표 전환 등을 발표한 업체는 극히 드물다. 그래서 지금도 꾸준히 기술 업그레이드 여부를 공개하고, 사업 진척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발행사가 있다면 상대적으로 믿을만한 곳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물론 꾸준한 업데이트가 가상자산 가격을 담보하진 않는다. 하지만 지금도 카카오톡과 텔레그램 등 외부 공개 채널을 통해 투자자와 소통을 이어가는 곳의 경우, 운영비와 마케팅비를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곳이다. 

가상자산 거래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초 1000여곳에 달했던 국내 가상자산 발행업체 중 약 10여곳 정도만이 여전히 투자자와 소통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최소한의 투자자 보호…'토큰 바이백·소각'


실서비스를 위한 개발이 진행되도, 현재 서비스 적용을 통해 가상자산 생태계를 만든 곳은 사실상 전무하다. 여전히 법적기준이 모호한데다 세무이슈 등이 적지 않아 이용자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즉 실서비스에 대한 희망으로 가상자산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것은 현시점에선 무리다.거래사이트 상장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해도, 더이상 매수세에 힘이 붙지 않는다. 하루새 100배 가격이 뛰던 전세계 1위 거래사이트 바이낸스의 상장투표 역시, 힘을 잃은지 오래다. 

이로인해 일부 가상자산 발행업체의 경우, 시중에 유통된 가상자산을 사들여 투자자 피해를 줄이거나 자사 보유량을 소각해 가격 방어에 나선다. 유통량을 줄여, 가상자산 가치를 띄우는 일종의 자사주 매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들 대부분 업비트나 빗썸 등 상장 거래사이트를 통해 해당 내용을 공시한다. 상대적으로 이런 발행사들의 경우, 서비스 지속 의지가 있다는 점에서 희망을 가져볼 수 있다.

가상자산 공시서비스 '쟁글'을 개발한 크로스앵글의 박해민 공동대표는 "생존위기에 직면해있는 토종 가상자산 개발사가 신뢰도 회복에 주력해야한다"며 "가격과 기업 성장의 상관관계 만들기 위해 매출이 나면 토큰 바이백 등 자사토큰을 소각해 가격 방어에 나서는 곳은 상대적으로 믿을 만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탈중앙화는 잊어라…시류를 따른다면 '미워도 다시한번'!


국내 가상자산 거래시장이 얼어붙었지만 발행사 중 일부는 공공사업을 영위하며 생존을 이어가는 곳들이 적지 않다. 탈중앙이라는 블록체인의 가치를 뒤로 하고, 시류를 따르고 있는 것이다. 

실제 공공시장을 통해 일부 운영비를 확보하고, 대외 인지도를 끌어올려 더나아가 외부투자를 유치하는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공공사업 수주사의 경우, 정부와의 원활한 소통이 오히려 쉽게 불법행위를 할 수 없는 족쇄로 작용한다는 것이 투자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가상자산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코인플러그와 아이콘 등 일부 업체의 경우, 공공사업을 통해 인지도를 확보해 외부투자를 이끌어냈기 때문에 과도한 가상자산 다단계 판매나 불법행위에 쉽게 나설 수 없다"며 "건당 금액은 낮아도 조달청을 통해 꾸준히 공공사업이나 대기업 제휴를 이뤄내는 곳이 있다면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