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플랫폼 확장에 따른 여론의 뭇매를 맞아온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5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 거듭 국민들에게 사과하고 골목상권 철수와 더불어 내수기업의 오명을 벗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특히 글로벌 시장 확장에 대한 꿈을 밝히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골목상권은 절대 겨냥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택시부터 대리운전까지, 모빌리티 논란...김범수 "상생방안 찾을 것"

김 의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의 증인으로 출석해 최근 논란이 된 플랫폼의 독점적 시장 구조 등에 관해 거듭 사과를 표했다. 실정법 위반 여부를 떠나, 코로나19 시국에 고통받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위해 카카오의 플랫폼 영향력 확장에 대한 도의적 사과를 표한 것. 

동시에 김 의장은 "카카오 자회사 중에 투자회사가 있는데, 투자회사들은 그냥 사업성이 좋은 회사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며 "(골목상권)일부는 철수를 시작했고, 지분 매각도 검토하고 있으며, 카카오가 초기 투자한 회사가 많지만 신속하게 정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카카오헤어샵을 비롯, 자영업자와 프랜차이즈 비중이 높은 영역에서 빠르게 손을 떼겠다는 의미다. 

아울러 김 의장은 카카오모빌리티 논란에 대한 질의가 잇따르자 "사회적 물의 일으켜 죄송하다"며 "카카오택시는 플랫폼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 생각하고 있고, 이용자 편의를 증대 시키고 그 부가가치를 택시기사 파트너들과 수익을 같이 가져가는 것이 이상적인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가지 제약상황 때문에 난항을 겪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물의를 일으켜서 죄송하고 좀 더 상생방안을 찾아보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카카오모빌리티는 1년에 수백억원씩 적자를 기록 중이고, 수수료 20% 중 실질적인 부담은 5% 정도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개인적으로 플랫폼의 이용자가 더 활성화되려면 수수료율을 계속 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플랫폼 기업은 이용자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파트너들과 이익을 공유해야 하는데 카카오택시는 이 과정이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였다"고 말했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케이큐브홀딩스 논란에 입연 김범수 "사회적 책임 통감"

이날 김 의장은 꾸준히 논란이 돼온 김 의장 소유의 케이큐브홀딩스에 대해 "사회적인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며 거듭 사과의 뜻을 밝혔다. 케이큐브홀딩스가 카카오 그룹사의 지주사 역할을 하며, 여러 논란을 양산하고 있다는 지적이 빗발친 탓이다. 

이에 대해 김 의장은 "사회적으로 지탄받거나 논란되는 부분에 수정하거나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고 해명했다. 특히 동생인 김화영씨의 퇴직금 논란에 대해선 "제가 생각해도 퇴직급여 부분은 조금 많다고 생각한다"고 개선의 의지를 밝혔다.

또한 담보 대출 논란에 대해선 "주식 담보 대출을 받아서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지만, 탈세 목적은 아니었다"고 답했다. 아울러 카카오톡 선물하기 상품권의 차액 환불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 "수정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네이버는 국위선양, 카카오는 골목상권?...김범수 "글로벌은 우리의 꿈"

이날 김 의장은 해외시장을 공략 중인 네이버와 달리, 카카오는 골목상권 공략에만 몰두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네이버는 20년 된 회사고 카카오는 10년 됐다"며 "카카오가 돈을 벌기 시작한 것은 2~3년 전으로, 생존을 걱정할 정도였는데 갑자기 회사가 이렇게 된 부분에 당혹감도 있다"고 운을 뗐다.

다만 그는 "글로벌은 저의 꿈이자 모든 크루들의 꿈으로, 굉장히 준비를 많이 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지금 웹툰 쪽은 일본 쪽에서 1등을 하고 있고, 지금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북미 쪽에서도 공격적으로 회사를 인수하고 진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 의장은 "저는 플랫폼에는 빛과 그림자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빛은 자본이 없어도, 배경이 없어도 시장의 큰 흐름에 참여할 기회가 생기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카카오가 기술을 활용한 골목상권 진출 논란이 있지만, 앞으로 침해하는 사업은 진출도 안하고, 철수할 것이며 오히려 도울 방향으로 나아가겠다"며 "이는 모든 카카오 공동체가 지향할 목표이고 더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