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3차원 환경의 네트워크 상황을 정교하게 분석하는 '딥 네트워크 AI(Deep Network AI, DNA)' 솔루션을 상용망에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의 네트워크 분석은 주로 위도와 경도 기반의 실외 2차원 공간에서 이루어져 고객이 현실적으로 생활 또는 이동하는 건물 내부나 도로, 지하철 등 3차원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경험이나 품질을 정교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SK텔레콤은 AI 기술로 3차원 공간에서 네트워크 상황을 분석 및 시각화 하는 DNA를 개발했다. DNA는 특정 건물 공간 또는 지하철·철도·도로 등 이동 공간을 복합적으로 파악, 네트워크 트래픽과 고객이 경험하는 네트워크 속도·커버리지, 고객 불편 사항 등을 분석할 수 있다.
DNA는 SK텔레콤이 지금까지 개발해 온 AI 기반 네트워크 품질 분석, 실내 측위, 모빌리티 분석 기술을 융합한 결과물이다. SK텔레콤은 DNA로 시간·위치·상황(TPO)을 정확히 분석하고 세밀한 네트워크 품질까지 조율하는 등 망 운용 효율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현재 수도권 내의 상업용 건물과 지하철, 철도, 도로 등 70% 이상의 공간을 대상으로 DNA 분석을 적용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네트워크 저하 현상을 인지하는 시간이 기존 대비 평균 60% 이상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또 SK텔레콤은 DNA 분석 대상 영역을 지속 확대해 현재 현장 상황을 인지하는 수준에서 향후 통신 상황까지 예측할 수 있는 단계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또한, 통신장비가 설치된 현실세계와 유사한 디지털 트윈을 통해 분석하는 방향으로 AI 모델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SKT는 다가오는 MWC 2024 전시를 통해 해외에도 DNA 활용 사례를 공개하고, Network AI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비즈니스 협력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박명순 SK텔레콤 인프라 AI/DT 담당은 "네트워크 영역에서 개발해온 위치, 모빌리티,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AI 모델 기술이 융합된 결과물로 의미가 있다"며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의 체감 품질과 망 운용 효율성을 지속 제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CES 2024] SK텔레콤 "일상을 바꾸는 AI기술"...미래 교통 기술 대거 공개
- [CES 2024] 일상생활 바꾸는 AI의 진화…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막 올랐다
- [CES 2024] 유영상 SKT 대표, CES서 조비 CEO와 UAM 협력 확대
- CES 2024 누빈 유영상 SKT, AI피라미드 전략으로 글로벌 무한 확장
- KT, 차세대 'SDN' 컨트롤러로 네트워크 안정성 강화
- 기업이 직접 AI 앱 만든다…SKT, ‘엔터프라이즈 AI 마켓’ 출시
- SKT '엑스칼리버' 미국 진출 시동…AI 글로벌 진출 본격화
- AI·6G 등 통신현안 한가득…통신3사, MWC '현장경영' 광폭 행보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