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선거때마다 등장하는 '낭설'이 있다. 바로 '조작 선거'다. 투표때마다 일각에서 선거 조작 의혹을 제기한다. 선관위가 '허위 내용 게시하지 말라'고 지적해도 SNS에는 늘 조작 의혹이 쏟아진다.
이럴때마다 주목받는 기술이 있다. 바로 '블록체인'이다. 탈중앙화와 투명성이 특징인 블록체인 기술이 '투표 불신'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일부 기관과 단체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투표를 진행하기도 했다.
위메이드 '위퍼블릭'으로 투명한 투표 가능해졌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진행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예장통합) 서울강남노회 선거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커뮤니티 플랫폼 '위퍼블릭'이 활용됐다. 서울강남노회는 서울 강남 및 용인, 분당 등 경기 일부 지역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교회로 구성된 단체다.
서울강남노회는 지난 9일 제74회 정기노회의 목사 및 장로 대표자인 총대 선출 선거를 진행했는데, 현장 참여자에 한해 위퍼블릭에서 발급받은 SBT(Soul Bound Token)로 출석 확인 후, 투표권을 받게 했다.
위퍼블릭 투표는 결과증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안건 발의부터 투표 진행 상황, 최종 결과까지 모든 절차가 블록체인 상에 투명하게 기록되는 시스템이다. ▲비밀 투표 ▲위변조 불가 ▲결과 영구 보존 등 이용자의 신뢰도를 높이고 적극적으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선거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결과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대학도 정부도...블록체인 투표에 '관심'
지난 3월 한동대학교는 국내 대학 최초로 위퍼블릭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을 활용해 총학생회, 자치회 선거 등 12개 선거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기존 전자투표 시스템의 낮은 보안성과 신원 증명 등 단점을 보완한 블록체인 투표로 학생들의 호응을 이끌어 낸 바 있다.
정부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투표에 관심이 많다. 지난 2018년부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블록체인 기반 투표 시범 사업을 진행하며 블록체인을 활용한 투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블록체인산업 진흥전략을 발표하며 온라인 주민투표 시스템 구축 사업에 예산 30억원을 배정하기도 했다.
이 사업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온라인 주민투표' 사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사업이다. 주민투표법 개정을 통해 온라인 방식 주민투표가 허용되면서 선관위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투표 시스템(K-Voting)을 대규모(시·도 단위, 약 1000만명) 지역 투표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개편하기로 했다. 서버 인프라 및 투·개표 암호화 체계 등을 집중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사실 블록체인은 '투표'를 위해 태어났다
사실 블록체인은 태생적으로 투표와 연관돼 있다. 분산된 네트워크 운영을 추구하기 때문에 중앙 기관이 없다.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투표를 통해 의사결정을 한다. 물론 합의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작업증명(PoW)이나 지분증명(PoS), 위임지분증명(DPoS) 등의 방식이다. 지분 보유량에 관계없이 1인 1표제로 합의하는 형태의 메인넷도 등장한 바 있다.
최근 네이버와 카카오에서 시작된 블록체인 메인넷인 핀시아와 클레이튼이 합병을 결의했을때도 생태계 참여자들이 투표를 통해 합병을 최종 승인했다. 네이버와 카카오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이들이 합병을 결정했다 하더라도 생태계 참여자들이 투표를 통해 합병을 부결시킬 수 있는 것이 블록체인의 가장 큰 특징이다.
블록체인을 통해 이뤄진 모든 행위는 기록이 남는다.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누구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을 통해 투표가 이뤄진다면 더 이상 '조작' 얘기는 나오지 않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퍼블릭을 서비스하는 위메이드 관계자는 "위퍼블릭 투표는 결과증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안건 발의부터 투표 진행 상황, 최종 결과까지 모든 절차가 블록체인 상에 투명하게 기록되는 시스템"이라며 "비밀 투표, 위변조 불가, 결과 영구 보존 등 이용자의 신뢰도를 높이고 적극적으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선거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결과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는 점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