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폭탄'을 부과하는 강수를 뒀지만 장기적으로 중국산 전기차의 위협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C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컨설턴트와 무역 분석가들은 새로운 대중국 관세 장벽이 단기적으로 중국 자동차업체의 미국 수출을 지연시킬 수는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차단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주요 배경으로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가 꼽혔습니다.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가 현재 25%에서 100%로 4배 인상되더라도 미국 업체의 전기차가 궁극적으로 가격 우위를 갖지는 못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중국 전기차 1위 업체 비야디(BYD)를 비롯한 주요 업체들이 저렴한 모델을 앞세워 시장을 공략할 여지가 충분하다는 분석입니다.
예를 들어 비야디의 소형 전기차 '시걸'은 100% 관세를 적용하더라도 가격이 현재 미국에서 팔리는 전기차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일 것이라고 CNBC는 밝혔습니다. 차량 크기나 성능을 제외하고 가격경쟁력만을 따져볼 때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과 더불어 유럽 등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관세 정책이 나온다면 중국 업체들은 현지 생산 공장 설립, 합작 투자와 같은 우회로를 찾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팀 치아오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는 "서방의 보호무역주의는 빠른 글로벌 확장을 목표로 하는 중국 전기차 및 전기차 부품 제조업체에 단기적으로는 걸림돌이 될 것"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전기차 정책 추진을 중단시킬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습니다.
컨설팅 업체 알릭스파트너스의 댄 허쉬 자동차 및 산업 실무 미주지역 책임자는 "그들(중국산 전기차)은 여기에 올 것이고 그것은 단지 시간문제일 뿐"이라며 "서방 자동차 업체들은 이 문제에 대응하거나 이들과 경쟁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대중 관세 정책이 향후 전기차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