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고스트패스, 센스톤, 체크멀 등 국내 정보보호 기업이 개발한 정보보호 기술·제품·서비스(이하 기술 등) 9건을 '2025년 우수 정보보호 기술'로 지정한다고 30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규성·독창성 및 사업화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정보보호 기술 등을 대상으로 2018년부터 매년 우수 정보보호 기술로 지정하고 있다. 올해는 총 23개사(24개 기술)에서 우수 정보보호 기술 지정 신청에 참여해 심사의 전문성·공정성을 위해 구성된 전문평가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기존 기술과 차별성이 높고 향후 시장 수요가 높다고 평가한 총 9개 기술 등이 선정됐다.
옥타코의 제로트러스트 기반 지문 보안키, 고스트패스의 생체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저장하는 탈중앙화 기술, 더코더의 인쇄물 보안 솔루션, 체크멀의 안티램섬웨어 전문솔루션 등이다.
정부는 선정된 9개 기술 등을 '우수 정보보호 기술'로 지정하고, 해당 기술에 대해 ▲공공분야 판로 개척지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지원 사업 가점 부여 ▲과기정통부 장관 상장 수여 ▲지정마크/현판 제공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공공분야 판로 개척지원에는 ▲중소기업기술마켓 및 조달청 혁신제품 등록 지원 ▲조달청 벤처나라 등록 추천지원 ▲구매상담회 및 협의체 총회등 참가지원 ▲공공기관 실사용 도입 비용 지원 등이 포함된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우수 정보보호 기술 지정은 단순히 신기술을 발굴하는 것을 넘어 실제 현장에서 잘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기업들의 신기술 개발 유인을 제공하는 제도"라며 "정부는 복잡화‧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비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 개발, 정보보호 기업 역량 제고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KISA 'IoT 보안인증' 글로벌 공조 강화.."국산 제품 해외 진출 지원"
- 이재명 정부, 5개 부처 차관 인선…류제명 과기정통부 차관 선임
- [MSI 통신] T1 '케리아'가 인정한 BLG...압도적 경기력으로 브라켓 진출
- [템터뷰] "비정상의 정상화"...로드나인을 만든 사람들의 1년간의 이야기
-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내정자 "주 52시간 근무제, 분야별 적정성 따져봐야"
- 네이버-카카오-티맵 등 내비게이션으로 하천범람 위험도 안내 받는다
- "스마트폰 개통할 때 신분증 복사 걱정 끝"...이통3사, 모바일 신분증 적용 범위 '확대'
- 3G·LTE용 이동통신 주파수 370㎒ 폭, 전부 재할당 된다...5G 추가 공급은 '논의중'